중국·일본이 잇따라 대구·청도 체류자 입국을 제한하면서 한국에서도 외국 체류자 출입국을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최근 중국 일부 지방정부가 코로나바이러스-19(코로나19) 역유입을 막겠다며 한국인 입국자를 강제 격리한 사실이 알려져서다.
26일 오후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는 한국 외교부의 부름에 이곳을 방문, 카운터파트(업무 상대)인 김건 차관보와 30분 간 회의했다.
최근 중국 일부 지역이 코로나19 역유입을 막고자 사전협의 없이 한국인 입국자를 강제로 격리하자 외교부가 싱 대사를 부른 것. 사실상 주재 외국 대사를 불러 항의하는 '초치'로 풀이된다.

김 차관보는 싱 대사에게 최근 각 지방정부에서 한국인 격리 움직임이 나오는 배경에 대해 문의하고 이런 방침이 과도하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싱 대사는 "중국 정부는 한국 국민만 제한조치하지 않았다. 일부 지방정부 조치도 한국 국민만을 상대로 한 것이 아니다. (격리된 이들 중) 중국 국민도 많다"면서 "김 차관보와도 중·한 간 코로나19 대응 문제를 잘 협력하자고 얘기했다. 양해하고 이해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방정부의 격리방침이 철회될 수는 없느냐'는 질문에는 "상황을 상의해서 타당하게 잘 처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또 지방정부가 이런 움직임을 지속할지에 대해서는 "사실 나도 잘 모른다. 한국 측 희망을 충분히 이해했다. 우리가 잘 전달해서 문제가 잘 풀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같은 날 오후 조세영 외교부 1차관도 도미타 고지(富田浩司) 주한일본대사를 불러 일본의 코로나19 관련 한국인 입국제한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일본 정부는 최근 2주(14일) 간 대구와 경북 청도를 체류한 적 있는 외국인의 입국을 거부하기로 했다.
조 차관은 일본 측에 한국 정부의 코로나19 확산 방지 노력을 설명하고 "한국 국민이 일본에 입국하는 데 과도한 조치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한국인 입국을 금지한 국가로는 홍콩과 이스라엘, 요르단, 모리셔스와 나우루, 키리바시 등 16개 국이 있었다. 특히 감염병이 한번 유입되면 걷잡기 힘든 작은 섬국가가 많았다. 이런 가운데 동아시아 이웃 국가들마저 입국제한 조치를 내렸다.
이를 두고 정부 대응이 늦은 점에 대해 비판 목소리가 나온다. 외교 관계 악화를 우려하며 늑장부리는 새 화를 키우고, 상대 국가가 먼저 대응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

오신환 미래통합당 의원은 "국민들이 어쩌다 이런 상황까지 왔는지 분노와 상실감을 느낄 것이라 생각한다. 지금 정부가 너무나 잘못했다고 생각한다"면서 "우리가 중국(인)을 처음부터 원천적으로 입국 제한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