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코로나19 사태 이후 생계 위협 내몰린 사회취약계층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병 확산세가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대구경북의 홀몸노인, 장애인,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취약계층이 감염 걱정은 물론이고 생계가 위협받는 처지에 빠져들고 있다. 감염병 공포로 사회복지망 가동이 사실상 올스톱되면서 벌어지고 있는 부작용인데도, 대구경북의 지방자치단체들은 현재로선 아무 대책이 없다며 손을 놓고 있다고 하니 큰일이 아닐 수 없다.

코로나19 지역 확산 이후 각종 복지시설들이 일제히 문을 닫음에 따라, 갈 곳 없어진 노인들은 요즘 자기 집에서 장기간 고립 생활을 하고 있다. 기댈 곳은 취약계층을 위한 방문 복지 서비스인데 생활지원사, 사회복지사 등이 재택근무 체제로 전환되면서 이마저도 끊겼다. 홀몸노인과 장애인들은 이들로부터 건강 체크, 음식 제공, 청소, 설거지, 병원 동행 등 여러 서비스를 받았는데 이런 도움을 받을 길이 막막해졌다.

고혈압·당뇨·관절염 등 기저질환을 앓는 홀몸노인들은 방문 서비스 중단이 장기화되고 바깥 활동을 못하면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자가 대구에만 1만3천여 명이라는데 이들은 요즘 사실상 '창살 없는' 감옥 생활을 하고 있다. 생계가 곤란해지기는 11만7천여 명에 이르는 대구의 기초생활수급자들도 마찬가지다. 일용직 근로나 지자체, 복지관에서 제공하는 공공근로 등 일거리가 코로나 사태 이후 뚝 끊겨 월 50여만원 정부 지원금만으로 버틴다고 한다.

게다가 급식소마저 운영이 중단되면서 사회취약계층은 점심 한 끼 해결하기조차 버거워졌다. 이러다가는 홀몸노인이나 기초생활수급자 등은 코로나19를 피하더라도 영양실조나 기저질환 악화 등 후유증을 겪게 될 우려가 크다. 사회적 재난이 벌어지면 사회적 약자들이 더 큰 타격을 입는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코로나19 확산을 막느라 경황이 없겠지만, 마스크조차 살 형편이 안 되는 사회취약계층을 한 번 더 돌아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