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산시의 코로나19 대처 미흡…정보 공유와 역할 분담 제대로 안돼

"생활치료센터 지정 해제, 확진자 동선 공개, 마스크 공급 관련 대처 미흡" 지적

경북 경산시가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정보 공유, 역할 분담을 통한 대처가 미흡하다는 시민들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경산시는 지난달부터 재난안전대책본부에 12개 반을 구성해 코로나19 사태를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인접한 경북학숙의 생활치료센터 지정 및 해제 과정에서 나타났듯 상황 판단조차 제대로 되지 않는 모습이다.

경북학숙의 생활치료센터 지정은 방역·운영계획 등에 대한 설명과 설득 부족으로 주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다. 또 봉황초교 경계와 110m가량도 떨어진 곳이라 교육환경법상 감염병 격리소·요양소, 진료소 설치 이전에 교육청 지역위원회원회 심의를 거쳐야 하는데도 전혀 검토가 이뤄지지 않았다.

경북 경산시 진량읍 경북학숙(오른쪽 건물)이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로 지정되자 지난 4일 주민들이 경북학숙 입구에 천막을 치고 생활치료센터 지정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imaeil.com
경북 경산시 진량읍 경북학숙(오른쪽 건물)이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로 지정되자 지난 4일 주민들이 경북학숙 입구에 천막을 치고 생활치료센터 지정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imaeil.com

경북학숙 인근 주민들이 생활치료센터로 적당하지 않은 장소라며 반발하자 경북도는 5일 지정을 해제하는 등 바람직하지 않은 선례를 만들어 행정 신뢰도를 떨어뜨렸다.

경산시 재난안전대책본부 역시 12개 반이 역할 분담을 했지만 부서 간 정보 공유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고 있다. 심지어 업무 파악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무슨 일을 해야 하는지 모르는 게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온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초기부터 확진자 동선이나 마스크 공급 정보도 부족해 시민들의 불만은 폭발 직전이다. 일부에서는 시청 공무원 1명이 지난달 19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는 바람에 밀접접촉자인 경산부시장이 14일 동안 자가격리되면서 지휘 공백이 발생한 점에 주목하기도 한다. 또 능력보다는 나이 위주의 경산시 승진 인사가 이같은 위기 상황을 자초한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