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동선 파악이 빨라지고 정확해진다.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질병관리본부는 스마트시티 기술을 활용해 코로나19 확진자 역학조사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 16일부터 가동에 들어간다고 11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대구시 및 경기 시흥지역에서 연구 개발 중인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를 활용했다. 확진자의 이동통신 정보와 신용카드 사용 정보 등 대규모 도시 데이터를 분석해 이동경로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지도 위에서 확인하고 관련 통계정보로 코로나19에 대응하도록 만들어졌다.
질병관리본부는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자 국토부와 과기부에서 연구개발 중인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플랫폼'을 활용한 지원시스템을 요청했고, 지난 3월 초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플랫폼은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R&D'로 개발한 대규모 도시데이터 분석 도구다. 교통·에너지·환경·안전 등 도시 내 각 분야의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융복합 데이터를 창출하고, 스마트시티 서비스 구현에 활용된다.
2018년에 개발을 시작해 올해부터 2022년까지 대구와 시흥을 대상으로 데이터 허브를 구축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시티를 구현한다는 목표다.
코로나19가 확산되자 질병관리본부는 확진자에 대한 면접조사 등 심층적인 역학조사로 발병위치와 전파경로를 파악해왔다. 하지만 다수의 확진자가 발생한 대구 경북의 경우 역학조사관의 업무가 폭증하면서 대규모의 데이터를 신속·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전산 지원 시스템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정부는 이 시스템을 코로나19 대응에 우선 적용하고, 앞으로 감염병 역학조사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다만, 개인 정보 보호 차원에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역학조사의 범위 내에서 활용하고, 감염병 위기대응단계를 고려해 한시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모든 부처의 협력이 중요한 시점인 만큼 앞으로 스마트시티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