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만난 대구 중구 서문시장 상인들은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불황"이라고 입을 모았다. 근래 들어서도 지난 2003년 사스(SARS), 2015년 메르스(MERS), 지난해 계명대 동산병원 성서 이전 등 수많은 위기와 악재를 겪었지만 코로나19 사태 만큼의 매출 폭락은 없었다는 것이다.
대구 소상공인들도 전례가 없는 대출 지연에 두 번 울고 있다. 매출 반 토막을 넘어 폐업·도산 위기에 내몰린 가게와 업종이 속출하고 있지만 정부 지원금은 '하늘에 별따기'나 마찬가지여서다.
대구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이 코로나19만큼 무서운 생존 위기에 놓이면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통한 정부의 '긴급 자금' 지원이 절대 과제로 떠올랐다.
미증유의 전염병 대유행과 사투를 벌이는 사이 대구 경제, 산업, 복지 활동은 멈춰선 지 오래다. 하루 아침에 일자리가 사라지고, 복지 지원까지 끊기면서 일용직 근로자와 홀몸노인 등 취약계층의 생계마저 절벽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서 제기하는 재난기본소득 도입 등은 당장의 생존, 생계에 허덕이는 대구에는 먼나라 이야기나 마찬가지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권영진 대구시장은 11일 "여・야 정치권과 정부에 대구경북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달라고 요청한다. 감염병특별관리지역으로 선정된 대구·경산·청도에 대해서 만이라도 취약계층에 대한 '긴급생계자금'과 생활밀착형 자영업에 대한 '긴급생존자금'을 우선 지원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며 경북 전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줄 것을 11일 정부에 건의했다.
경북도에서는 코로나19로 11일 현재 사망 16명, 확진자 1천72명, 입원 588명, 자가격리 5천754명 등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또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관광 관련 업종, 화훼를 비롯한 지역 농가 등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 대구·경북 재난안전대책특별위원회는 정부에 대구경북 경제적 약자의 민생구제를 위해 8천428억 원의 추경 편성을 요구했다. 대구시도 비슷한 규모의 예산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권 시장은 "재난기본소득 등 전국민에게 나눠주는 방법은 자칫하면 말로만 그치거나, 정쟁으로 번지다 끝날 가능성이 크다. 이러면 대구시민들에게 또 좌절과 실망을 안겨줄 것"이라며 "대구는 모든 일상과 산업이 중단된 감염병특별지구다. 당장의 생계, 생존 자금을 이번 추경에 반영해줄 것을 요청한다. 이를 직접 정부와 여야 정치권에 부탁드리고 설득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