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도 콜센터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면서(매일신문 3월 11일자 1면) 콜센터들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대구시는 서울 구로구 콜센터 집단감염이 발생한 10일에 이어 11일에도 대구 지역 56개 콜센터에 공문을 보냈다. 공문에는 구체적인 코로나19 감염방지 조치 사항과 향후 계획에 대해 알려달라는 내용이 담겼다. 이날 금융당국도 '띄워 앉기'를 권하는 공문을 금융권 업종별 협회에 보내는 한편 재택근무 허용을 검토하기로 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업체들은 급히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대구시와 대구컨택센터협회에 따르면 확진자 발생 이후 콜센터 업체 대부분은 밀집돼 있던 기존 사무실 공간을 확장해 직원 간 간격을 넓히는 한편 출퇴근, 점심시간도 두 배로 늘려 직원 접촉을 최소화하고 있다.
대구컨택센터협회 관계자는 "협회는 회원사 소통역할을 하고 있고 콜센터도 각자 본사 지침이 우선이어서 협회차원에서 대책 마련을 강제할 수는 없다"면서도 "다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협회 회원사들이 단체 채팅방을 만들어 대응 상황을 공유하고 있다"고 했다.
또 "재택근무에 필요한 가상사설망(VPN) 설치를 위한 장비 구매를 문의하는 곳이 늘고 있고, 단순민원 업무는 재택근무 직원으로 돌리는 등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런 노력에도 여전히 사각지대가 상존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구시와 대구컨택센터협회는 회원사 56곳 외에도 콜센터를 운영하는 곳이 적잖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고객 응대가 필요한 소비재기업의 경우 콜센터로 별도 사업자 등록이 돼 있지 않고, 특정 시기에 맞춰 3~6개월 간 스팟 형태로 운영되는 콜센터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을 감안하면 대구시가 11일 전수조사 방침을 밝혔음에도 지속적 관리는 사실상 쉽지 않다는 것이다.
대구컨택센터협회 관계자는 "회원사에게는 정부나 지자체 지침을 협회 차원에서 전달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우리도 어떻게 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도 콜센터와 PC방 등 밀집사업장의 코로나19 집단감염 방지를 위해 '고위험 사업장 공통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로 했다.
중대본은 지침을 통해 밀집사업장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유증상 직원의 근무를 막고 재택·유연근무를 도입하는 한편 출퇴근 시간과 좌석 간격도 조정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