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집콕' 온라인쇼핑 25%↑…농축수산물 104%↑, 음식서비스 82%↑

통계청, 2월 온라인쇼핑 동향 결과, 온라인몰 거래액도 8조5천14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4.9% 늘어

3일 통계청이 발표한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온라인쇼핑 동향'을 보면 지난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1조9천618억원으로 1년 전보다 24.5%(2조3천545억원) 증가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로 집에서만 지내는 '집콕' 생활자가 늘면서 온라인쇼핑은 크게 늘고 반대로 외부 활동 자제로 문화·레저·여행·교통 서비스 거래는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1조9천618억원으로 1년 전보다 24.5%(2조3천545억원) 증가했다. 이는 2018년 10월(30.7%) 이후 16개월 만에 최대 증가율이다.

특히 전체 소매판매액 중에서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27.7%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12월(22.1%), 올해 1월(22.9%)과 비교해 5%포인트 정도 상승한 것이다.

2월 중순부터 국내에서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외출을 자제하고 집에서 식사하는 경우가 늘어난 영향으로 농·축·수산물과 음식 서비스, 음·식료품을 중심으로 온라인쇼핑이 많이 증가했다. 농·축·수산물은 103.7%, 음식 서비스는 82.2%, 음·식료품은 71.0% 증가했고 세정제, 휴지, 세제 등 생활용품 온라인 거래도 52.8% 늘었다.

반면, 외부 활동 자제로 영화관람, 여행, 대중교통 이용 등이 감소한 영향으로 문화 및 레저 서비스(-60.0%)와 여행 및 교통서비스(-46.2%)는 거래액이 급감했다. 의복(-2.3%), 가방(-1.7%), 패션용품·액세서리(-1.3%)도 거래액이 줄었다.

통계청은 "의복은 날씨와 외출 자제 때문이고, 가방·패션용품 등은 외국인관광객 입국이 크게 줄어 온라인 면세점 거래가 급감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운영형태별로는 2월 온라인몰의 거래액이 8조5천14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4.9% 늘어난 반면, 온·오프라인 병행몰의 거래액은 3조4천479억원으로 4.7% 증가에 그쳤다.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 대비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8.1%로 1년 전보다 3.5%포인트 상승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