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가 1만 명을 넘어섰다. 수도권의 환자 수도 1천 명이 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 환자 수가 100만 명을 돌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 확산세가 다소 완화되었다고는 하나 해외 유입에 따른 전파와 산발적 지역사회 감염은 숙지지 않고 있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를 마무리하고 6일부터 '생활 방역' 체제로 들어가려던 계획을 철회한 이유일 것이다.
정부가 5일까지 시행하기로 했던 '사회적 거리두기'를 19일까지 2주간 연장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종교시설과 체육시설 등 일부 업종의 운영 제한 조치 또한 기간 연장이 불가피해졌다. 정부의 목표는 이번 조치를 통해 감염 규모를 우리 보건의료체계가 일상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50명 내외 수준까지 줄이는 것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은 국민들의 정신적 피로감 누적과 경제활동의 공백 확대라는 엄청난 부담을 담보로 한 고육지책이다. 산발적 집단감염의 위험이 있는 취약시설과 종교단체에 대한 명확한 방역체계 구축과 보다 실효성 있는 해외 유입 환자 차단 및 관리 대책이 전제되어야 한다. 공동체의 희생과 낭비를 생각하면 어떤 시설과 집단도 반사회적인 행위에 대한 엄벌에서 추호도 예외일 수가 없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치료가 아닌 예방조치이다. 무증상 감염이나 해외 유입자에 의한 전파 또는 의료기관과 요양시설 감염 확산 등 사태를 일시에 악화시킬 수 있는 불씨를 잠재우지 못하는 한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고행의 연장 또한 소용이 없게 된다. 사회적 거리두기도 중요하지만 고강도 방역 강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특히 집단감염 위험이 높은 종교시설과 요양병원 그리고 유흥시설에 대한 방역대책 보강이 절실하다. 각종 편의시설 폐쇄에도 몰려드는 상춘객들에 위기의식을 느낀 지자체들이 애써 가꾼 유채꽃밭을 갈아엎는 상황이다. 대수롭지 않다고 여긴 방심이 얼마나 가공할 파장을 몰고 왔는지 우리는 이미 경험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