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시장 급락 장세에서 외인·기관 매도를 이겨내며 주가를 지지하던 개인 투자자, 일명 '동학개미'들이 6일 큰 폭의 순매도로 돌아섰다. 개미 주도의 주식 투자 열풍이 끝났다는 분석부터, 일부 차익 실현 매물이 나왔다는 해석까지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는 8천451억원(장 마감 기준 잠정치)을 순매도했다.
이날 하루 순매도 금액은 지난해 12월 13일(9천892억원) 이후 약 4개월 만의 최대 규모다. 올해 들어서는 가장 큰 금액이다.
개인은 지난달 24일 이후 9거래일 만에 '팔자'로 돌아섰다.
앞서 개인은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에서 총 11조1천869억원어치의 주식을 사들였다. 이는 한국거래소가 관련 집계를 시작한 1999년 이래 최대 월간 순매수 기록이었다.
이달 들어서도 개인은 지난 1~3일 동안 3거래일 연속 순매수를 기록하며 약 1조7천695억원어치를 사들였다.
그러나 이날 개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매물이 쏟아지면서 월간 누적 순매수 금액은 1조원 아래인 9천244억원으로 떨어졌다.
일각에선 앞서 주식을 대거 사들인 개미들이 차익 실현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이날 개인은 삼성전자를 약 3천351억원어치 순매도하며 집중적으로 팔아치웠다. 삼성전자 주식의 지난 3월 한달 간 개인 매수액은 4조9천587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이날 주가가 상승하자 일부 매물을 내놓은 것이다.
이날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3.62% 뛰어오른 4만8천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가 연중 저점을 기록한 지난달 19일 삼성전자 주식을 장중 최저가(4만2천300원)로 사들인 투자자가 이날 장중 최고가(4만8천800원)로 주식을 팔았다고 가정하면 이들은 15.37% 수익률을 달성한 셈이다.
이날 SK하이닉스(866억원)와 셀트리온(749억원), 삼성전기(316억원), 현대차(229억원) 등도 각각 개인 순매도 상위 종목에 이름을 올렸다.
이날 개인 순매도액이 컸던 것은 국내 증시 대장주인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코스피가 강한 상승세를 이어가자 개인을 중심으로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진 영향으로 풀이됐다.
다만 이를 개인투자자가 완전히 이탈했다고 보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원 부국증권 연구원은 "앞서 개인 자산이 시장에 워낙 많이 들어왔기 때문에 이날 순매도를 개인투자자들의 이탈로 보기는 어렵다"며 "아직 시장에는 코로나19를 비롯해 국제유가 관련 변수 등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2천억원가량을 순매도하며 23거래일 연속 '팔자'를 이어갔다.
반면 기관은 1조385억원을 순매수하며 개인과 외국인이 팔아치운 물량을 받아냈다. 이는 지난 2016년 1월 28일(1조6천440억원) 이후 4년 2개월여만의 최대 규모 '사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