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온라인 개학, 학습 피해 최소화할 보완책 뒤따라야

사상 처음으로 실시되는 온라인 개학일이 밝았다. 9일 고3·중3생 온라인 개학을 필두로 16일과 20일, 나머지 초중고생들에게도 온라인 개학이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인데, 우려와 불안감이 크다. 준비 기간이 너무 짧았던 데다 사회적 인프라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가운데 온라인 개학이 전면 실시되는 터라 일대 혼란은 불가피해 보인다.

온라인을 활용한 원격 수업을 원활히 진행하려면 실시간 쌍방향성, 콘텐츠 활용, 과제 수행 등 세 요소를 고루 구비해야 하는데 일선 교육 현장이 이 중 어느 것 하나라도 제대로 갖췄다고 보기는 어렵다. 지난달 말 조사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조차 없는 학생들이 최소 22만 명이나 된다. 학생들이 한꺼번에 접속했을 때 학교 서버가 과연 감당할 수 있을지, 소프트웨어 보안에 문제가 없는지 교육 당국은 대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온라인 개학을 위한 교사들의 준비도 덜 돼 있다. 원격 교육을 실시하고 나면 학생들의 수업 성과를 확인해 학생부를 작성해야 하는데 이에 필요한 '학습관리시스템'(LMS)에 익숙지 않은 교사들이 적지 않다고 한다. 이런저런 사정을 감안하면 수업 동영상을 직접 만들기보다 교육방송(EBS) 콘텐츠에 의존하는 교사들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위권 학생 학습 수준에 맞춰져 있는 EBS 콘텐츠 특성상 상위권과 최하위권 학생들이 수강을 포기하는 부작용도 우려된다.

코로나19 감염병 사태라는 미증유 대재난 때문에 불가피하게 실시하는 온라인 개학이지만, 학습권 피해를 최소화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교육 당국은 아직도 확실한 온라인 수업 지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지금으로서는 학교들이 중간고사를 치를 여건이나 되는지조차 불투명하다. 자칫 온라인 개학이 학교·지역 간 학습 수준 차를 유발시키는 일은 없어야 한다. 교육 당국은 온라인 개학 실시에 따라 노출되는 여러 문제점과 부작용을 모니터링한 뒤 세밀한 보완책을 시급히 내놔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