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권영진 "시민참여형 방역, 시민에게 책임 떠넘기는 것 아냐"

방역 주체는 여전히 정부와 지자체…시민과 쌍방향 대응 체제
시민참여형 방역 위해 다음 주중 '범시민 대책회의' 발족
정례브리핑 19일까지는 지속…시민과 소통의 장

권영진 대구 시장이 지난 7일 오전 대구시청에서 대시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진 대구 시장이 지난 7일 오전 대구시청에서 대시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진 대구시장이 '시민참여형 방역'에 대해 책임을 시민에게 떠넘긴다는 일부 비판에 대해 "방역주체는 중대본(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대구시다. 시민과 쌍방향으로 가는 체제를 촘촘히 짜겠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권 시장은 9일 오전 대구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정례브리핑에서 "세계적 유행 사례를 볼 때 일시적인 봉쇄나 사회적 거리두기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 장기전을 대비해야 하고 2차 대유행에 대해서도 경고하며 대비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시장은 지난 7일 대시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방역대책 방향을 '방역 당국 주도'에서 '시민참여형 방역'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일부 언론과 시민들은 '대구시가 방역의 책임까지 시민들에게 전가하는 것이 아니냐'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권 시장이 여전히 방역주체는 정부와 지자체라는 점을 짚고, 시민참여형 방역은 장기전으로 가기 위한 대책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권 시장은 "시민참여형 방역은 시민들과 상황 인식을 공유한다는 의미다. 방역대책과 방향 등을 공유해야 한다"며 "각 분야별 시민들이 스스로 공감·수용하고 참여할 수 있는 세부적 대책을 시민이 참여해 만들어야 한다. 정부가 일방적으로 따르게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 쪽은 학원, 어린이집, 학교, 대학 등 특수성에 맞는 세부적 대책을, 전통시장은 전통시장대로 마련해야 한다. 다음 주 중 범시민 대책회의를 발족하고, 온라인으로 영상회의 진행하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시민들과 상황 인식을 공유하기 위해 당분간 정례브리핑을 지속하겠다는 뜻도 전했다.

권 시장은 "다른 지역은 정례브리핑하는 곳이 없다. 4월 19일까지는 브리핑을 이어갈 생각이다. 정보를 드리는 것도 있지만, 방역당국과 시민사회가 함께 소통하는 장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말했다.

또 "2차 유행이 온다면 대구만 국한되지 않을 거라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그때는 지금처럼 국가 역량을 대구에만 몰아줄 수 없을 것"이라며 "2천개 병상, 3천실 생활치료센터를 만들고 거기 맞는 의료네트워크, 중환자 치료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