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극복에 힘 보탠 방역 소독업체와 도시락 납품업체, 의료진 상당수가 대구시로부터 대금, 임금을 제때 받지 못했다고 호소했다. 대구시는 '전시 상황'이라 늦었다는 입장이지만 시민과 누리꾼은 무책임한 행정이라며 비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8일 대구MBC는 대구 소독전문업체와 도시락업체가 대구시로부터 대금을 제때 받지 못해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고 단독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소독업체 대표 A씨는 지난 2월 18일 대구 31번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직후부터 대구 대형병원을 50일 넘게 소독했지만 약품값, 인건비 등 2억원 가운데 단 한 푼도 받지 못했다며, 부도 위기에 처해 돈을 구하러 다니기 바쁘다고 호소했다.
A씨는 병원에 소독비 등을 청구했으나 병원들은 "대구시에서 돈이 나와야 하는데 감감무소식이다. 시에 직접 호소해 보라"는 반응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50여 일 정도 일을 하면서 결제를 부탁한 것이 최소한 15번, 20번이지만 대구시에선 어떤 얘기도 없다"고 덧붙였다.

보도에 따르면 대형병원에 도시락을 제공한 식품업체 또한 한달 넘게 인건비, 하청업체에 지불할 식자재비용 등 억대 대금을 받지 못했다.
식품업체 관계자 B씨는 "(대구시가) 처음에는 성금으로 (대금을) 준다고 했다가 나중에 국비로 주는 것으로 바뀌었다"며 "(대구시가) '국비가 어떻게 지급이 될지 아직 확답이 안 났다. 확답을 줄 수 없다'고만 얘기했다. 그 뒤로는 따로 연락이 온 것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대구MBC는 대구시가 지난달 23일 정부로부터 받은 감염병 대응 긴급 예산 549억원을 두고도 제때 집행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구시 자금 집행이 늦어지면서 의료진, 병원, 납품업체도 속앓이하고 있지만, 행여나 대구시에 밉보일까 항의조차 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대구시가 정부에 자금을 요청할 때만 다급했을 뿐 지금은 행정에 손을 놨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 누리꾼은 "(대구시) 너무하네. 저런 업체들은 돈 못 받으면 엄청 큰데 도산시킬 셈인가"라고 말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대구시민들은) 저래놓고 정부 탓이라고 욕하죠"라고 조롱했다. 어떤 누리꾼은 "전시상황? 전시행정"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한 누리꾼은 "대구시민입니다만, 기분은 정말 나쁜데 입이 열개라도 할말이 없긴 하네요. 참고로 시장중 지지도는 1위랍니다"라면서 "정말 기가 차는 지지도 입니다. 아무것도 안하고 심지어 선동이나 변명 이따위 것 조차 안하는데 지지도는 올라요"라고 말했다.
대구시 담당 공무원은 자금을 집행하지 않은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지금은 코로나19로 전시나 마찬가지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병원에서) 4월 20일까지 (자금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래서 우리가 그때까지 돈을 넣어주고자 거의 지금 절차를 마무리하고 있다"면서 "이 전시 상태에 그 한두 달 (자금 집행이) 늦은 것에 대해서 (대구시에) 비판을 하려면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또 앞서 대구에 파견된 일부 의료진이 수당을 받지 못한 사실에 대해 최대한 일찍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대구MBC는 앞서 대구에 자원봉사를 온 의료인 2천100여 명 가운데 선별진료소와 보건소 등에 근무하는 900여 명만 수당을 받았고, 나머지 천 200여 명은 보름 간격으로 받을 예정이던 수당을 받지 못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를 위한 정부자금 또한 대구시가 이미 확보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최근 보건복지부가 수당 지급 기준을 1개월 단위로 조정하면서 이런 상황이 발생했다. 파견 온 의료진이 너무 많은 데다, 4대 보험을 공제한 뒤 줘야 하는 등 절차도 복잡했다"면서 "일찍 정산해 지급하겠다"고 해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