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원격수업 도중 어린 동생 웃음·집안일 소리 "시끌벅적"

온라인 수업 첫날부터 접속 지연…학생, 교사 진땀
쌍방향 원격수업 시 말 소리, 집안일 소리 등 고스란히 들려

고3과 중3부터 온라인 개학이 시작된 9일 대구고등학교에서 쌍방향 원격수업을 진행 중인 화학 담당 교사가 모니터를 통해 학생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고3과 중3부터 온라인 개학이 시작된 9일 대구고등학교에서 쌍방향 원격수업을 진행 중인 화학 담당 교사가 모니터를 통해 학생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사상 처음으로 9일 온라인 개학이 실시됐지만 개학 첫날부터 접속 지연 등 시스템 장애가 발생하면서 학생과 교사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이날 오전 10시쯤 EBS 온라인클래스, 진로진학 이력관리시스템 등에는 접속자가 폭주하면서 한동안 로그인은 물론 사이트 첫 화면조차 실행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학생들의 진도율을 확인해 학습을 독려해야 하는 교사들조차 시스템에 접속하지 못 하는 상황도 벌어졌다.

시스템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의 실수도 속출했다. 일부 학생은 한 달치 진도 체크를 미리 해놓는가 하면, 과제물을 다른 시스템에 업로드한 경우도 있었다. 이 때문에 개학 첫날부터 각 학교의 시스템 담당 교사들은 사용법을 묻는 학생들의 전화를 쉴 새 없이 받아야 했다.

쌍방향 원격수업 방식을 확대 적용하기 어려운 점 또한 온라인 개학의 한계로 지적된다. 실제로 대부분 중, 고등학교에서는 1, 2명의 교사를 제외하고는 거의 콘텐츠 활용 수업이나 과제형 수업을 채택하고 있었다. 시범 수업 결과 음질이나 화질이 고르지 않고, 자신의 모습을 화면으로 드러내기 꺼리는 학생이 많았기 때문이다.

예년에 비해 입시 일정이 촉박한 고3을 대상으로 쌍방향 원격수업을 진행하기는 더욱 어려울 전망이다. 박태영 능인고 연구부장은 "수시모집, 수능 준비 등으로 시일이 촉박한 고3들에겐 쌍방향 원격 수업보다 과제형 및 콘텐츠 활용 수업을 통해 빠르게 학습을 진행하는 게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쌍방향 원격수업의 경우 수업 집중도를 떨어뜨리는 요소가 많다는 점도 향후 보완해야 할 부분이다. 이날 쌍방향 원격수업 중 가족이 학생에게 한 말 한마디도 수업에 참여한 다른 학생들이 모두 들을 수 있었다. 이밖에 어린 동생의 웃음소리, 집안일 소리 등이 수업의 방해 요소로 작용했다.

대구의 한 중학교 교사는 "학생 20여 명의 소리를 동시에 듣다보니 이를 조용히 시키고 통제하는 데 너무 힘 들었다"며 "수업 태도를 지적할 때도 눈 앞에 학생이 있을 때는 즉각적인 효과가 있는데, 온라인 수업에서는 학생이 전화를 안 받으면 어찌할 도리가 없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