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배달의민족, 새 요금제 철회…소상공인 반발에 '백기'

도입 10일 만에 정액제 요금체계로 복귀, 업주와 협의체 구성키로

배달의민족
배달의민족

국내 1위 배달앱 배달의민족(배민)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으로 힘든 소상공인들을 상대로 새 요금체계를 도입했다 거센 반발을 받자 10일 이를 철회했다.

배달의민족은 이날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의 김봉진 의장과 김범준 대표 공동명의로 공식 사과문을 내고 "'오픈서비스' 체계를 전면 백지화하고 이전 체제로 돌아간다"고 밝혔다.

배달의민족은 지난 1일 주문 성사 시 배달의민족이 5.8%의 수수료를 받는 요금체계 '오픈서비스'를 도입했다. 기존에는 8만8천원 월정액 광고인 '울트라콜' 중심의 요금체계를 써왔다.

이번 도입하려던 정률제 서비스는 매출 규모가 클수록 수수료도 늘어나는 구조다. 이 탓에 배민이 소상공인들에게 더 큰 부담을 지운다는 논란을 일으켰다.

반발이 커지자 배달의민족은 지난 6일 공식 사과와 함께 개선책을 찾겠다고 밝혔으나, 정률제 자체를 변경할 수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이에 이재명 경기지사 등 전국 각계에서 수수료 없는 공공 배달 앱 개발을 추진하고 소비자 불매운동도 거세졌다. 이에 결국 입장을 바꿔 오픈서비스 자체를 포기했다.

배달의민족은 우선 기술적 역량을 총동원해 가장 이른 시일 내에 이전 방식으로 요금제를 되돌릴 계획이다. 앞으로 주요 정책을 변화할 때는 입점 업주들과 상시 소통하기로 했다.

배달의민족은 이를 위해 업주들과의 소통기구인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정부 부처 및 각계 전문가와도 소통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배달의민족은 "외식업주들 고충을 세심히 배려하지 못하고 새 요금제를 도입해 많은 분께 혼란과 부담을 끼쳤다. 상심하고 실망한 외식업주들과 국민 여러분께 참담한 심정으로 다시 한번 깊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저희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책임의 무게감을 다시 한번 느꼈다. 각계의 충고와 업주들의 질타를 깊이 반성하는 심정으로 겸허히 수용하겠다"며 "모든 분께 응원받을 수 있는 플랫폼으로 거듭날 것을 약속한다"고 덧붙였다.

내 최대 배달 앱
내 최대 배달 앱 '배달의민족(배민)'에 대응해 독자적인 공공 배달 앱 개발 방침을 밝힌 경기도가 최근 수수료 없는 공공 앱 '배달의명수'를 출시한 전북 군산시와 손을 잡았다고 9일 밝혔다. 사진은 경기도청에서 업무협약식을 진행한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강임준 군산시장.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