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래한국당 19석·더불어시민당 17석 양분

TK 출신 5명 지역 우군 활동 기대…정당 득표율 3% 이상 5개분 배분

미래한국당 원유철 총괄선대위원장과 비례대표 후보자들이 11일 오전 대구 엑스코에 모여 미래한국당 대구 현장선거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미래한국당 원유철 총괄선대위원장과 비례대표 후보자들이 11일 오전 대구 엑스코에 모여 미래한국당 대구 현장선거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4·15 총선 개표 결과 비례대표 의석은 미래통합당의 비례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이 19석,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정당 더불어시민당이 17석을 각각 차지하게 됐다.

1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위원회의를 열어 이 같은 비례대표 투표 득표율에 따른 정당별 연동형·병립형 의석 배분을 확정해 발표했다. 확정안에 따르면 모두 47석의 비례대표 의석을 나눠 가지게 된 정당은 3% 이상의 득표율을 가진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등 5개다.

가장 높은 33.84%의 득표율을 기록한 미래한국당이 19석(연동형 12석+병립형 7석)을 차지했고, 33.35%의 득표율을 가진 더불어시민당은 17석(연동형 11석+병립형 6석)을 가져갔다.

정의당(9.67%)은 5석(연동형 3석+병립형 2석), 국민의당(6.79%)과 열린민주당(5.42%)은 각각 3석(연동형 2석+병립형 1석)을 받았다.

3% 미만 득표율을 기록한 나머지 정당들은 비례대표 입성에 성공하지 못했다.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이번 총선에서 처음 도입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따라 47석 중 30석은 정당 득표율과 지역구 의석수를 따져 각 정당에 배분됐다. 나머지 비례 17석은 기존 방식처럼 정당 득표율에 따라 단순 배분하는 병립형 방식을 따랐다.

이 같은 비례대표 의석 배분 결과 각 당의 비례명부 순서대로 당선인도 결정됐다.

각 당의 비례대표 당선인 가운데 TK 출신 인사로는 한무경·조명희·서정숙·허은아(이상 미래한국당), 최연숙(국민의당) 당선인이 포함됐다. 이들은 21대 국회의 회기 동안 지역을 대변하면서 든든한 우군으로 활동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