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의 음식물폐기물 정책이 갈팡질팡하고 있다. 포항시가 이미 9년 전 이미 예고된 기존 업체와의 계약 종료 기한(6월30일)이 한 달 보름 코앞에 다가왔으나 아직 신규 업체와 대체부지를 정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업체든 외부 위탁이든 어떤 결론이 나도 논란은 불가피하다.
포항시는 시의 음식물폐기물을 20년 간 위탁 처리한 영산만산업이 올해부터 실시한 1년단위 경쟁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지만 해당 업체를 돌연 배제시키기로 했다. 인근 포항시 남구 오천읍 '오천SRF발전(Solid Refuse Fuel 발전)반대비상대책위원회'의 민원이 이유다.
이들 반대비상대책위는 이미 SRF발전 반대를 내걸고 시의원들에 대한 주민투표를 벌이기도 했고 현재는 음식물폐기물의 7월 이후 추가반입 반대를 위한 릴레이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포항시 남구 호동엔 음식물폐기물처리업체·쓰레기매립장·SRF발전시설이 몰려 있다. 여기서 남쪽으로 3~4㎞ 거리를 두고 포항시 남구 오천읍이 있다.
포항시가 주민들의 민원을 받아들여 해당 업체를 탈락시키면 입찰 2, 3순위 업체와 계약을 하든지 또다른 외부 업체와 계약해야 한다. 외부 위탁처리가 불가피할 경우 기본적으로 운송료를 포함해 수십억원이 추가적으로 소요된다. 140억원을 들인 음폐수처리 침출수처리 시설도 가동을 못해 제역할을 할 수 없다.
이와는 별도로 민간에서도 포항시 전체 음식물폐기물의 30%를 차지하는 다량배출사업장(대형음식점 공장 사원식당 등)의 처리 비용 역시 수십억원이 늘어나 반발이 예상된다.
포항시는 지난 8일 영산만산업에 음식물류폐기물 철리대행 만료 및 공유재산 사용 불허를 통보했다. 해당 업체는 법적 대응을 예고한 상태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지난 2011년 판결을 통해 영산만산업과의 위탁처리는 올 6월30일로 종료되는 것으로 이미 정해져 있었다. 추가 예산에 대해서는 추경을 통해 확보한 상태이다. 일부서 주장하는 추가 비용은 부풀려진 측면이 있다. 대형음식점 등에 대해서는 최대한 포항과 가까운 처리업체로 처리하도록 도와주는 한편 향후 음식물폐기물 줄이기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