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의연, 김복동·길원옥 할머니가 낸 기부금도 '회계 누락'

2016년 규슈 지진 성금 모금…해외사업 지출 기록에 없어
여성인권상 상금 기부한 세 할머니 이름도 결산서류 명단에 없어

22일 오전 서울 마포구 정의기억연대 사무실 앞에 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당선인 사퇴를 촉구하는 피켓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22일 오전 서울 마포구 정의기억연대 사무실 앞에 정의연 이사장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당선인 사퇴를 촉구하는 피켓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인 고(故) 김복동 할머니와 길원옥 할머니가 낸 기부금마저 회계에서 누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는 지난 2016년 4월 일본 규슈에서 강진이 잇따라 발생, 100여 명이 숨지자 지진 피해자에게 써 달라며 정의연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 각각 100만원, 30만원을 기부했다.

이들은 같은 해 4월 20일 수요집회 참가자들에게도 일본 지진 피해자를 돕자며 모금 동참을 호소했다. 전범 피해자가 가해국 국민을 돕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반발 여론도 컸으나, 전세계적 인류애 관점에서 모금에 동참해 달라는 할머니들 호소에 많은 국민이 이에 동참했다.

정대협도 당시 두 할머니 제안에 따라 모금한 뒤 할머니들의 기부금과 함께 일본으로 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22일 정대협 '2016년 공익법인 결산서류'를 확인한 결과 해당 연도의 국외사업 지출 항목에는 관련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았다. 할머니들 기부금과 모금액을 실제로 집행했다는 장부상 근거가 없는 것이다.

정의연 관계자는 이에 대해 "현재 회계자료와 사업보고서를 검찰이 압수해 정확한 모금액과 전달처를 확인하기 어렵다"면서 "회계 처리가 미숙한 것은 있지만 목적에 맞게 전달했다"고 해명했다.

정대협 회계에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의 기부금이 회계 장부에서 누락된 사례는 이 말고도 더 있다.

김복동 할머니는 2015년 6월 광복·종전 70주년을 맞아 분쟁지역 피해 아동과 평화활동가 양성에 써달라며 정대협에 5천만원을 전달했다. 정대협의 2015년 결산서류 내 기부자 항목에는 '김복동'이라는 이름이 누락돼 있었다.

관련법 등에 따르면 공익법인은 기부금이 법인 총재산의 1% 또는 2천만원보다 많으면 기부자를 따로 공시해야 한다.

또 2017년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김복동·송신도 할머니는 '100만 시민이 함께하는 여성인권상 시상식'에서 각 1억원씩을 상금으로 받았다. 이에 길원옥·김복동 할머니는 5천만원씩, 일본에 거주 중인 송신도 할머니는 1억원을 각각 정의연에 기부했다. 2017년 정의연과 정대협 결산서류 기부자 명단을 보면 역시 세 할머니의 이름은 나타나지 않았다.

2019년 정대협은 정의연에 3천200만원을 지출했으나, 정의연의 2019년 결산 서류 기부자 명단에 정대협 이름은 나오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정의연은 "회계공시 미숙으로 인한 오류"라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