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집단 면역' 대응법을 내세웠던 스웨덴에서 내부 비판이 제기됐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24일(현지시간) 아니카 린데 전 공공보건청장이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스웨덴도 다른 나라들처럼 봉쇄령을 선택해야 했다는 지적을 했다고 보도했다.
린데 전 청장은 "만약 일찍 봉쇄령을 내렸다면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를 위한 시간을 벌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껏 스웨덴 정부의 대응법을 지지했지만, 당초 예상했던 것만큼 집단면역의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서 입장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집단면역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선 구성원의 60% 이상이 항체를 보유해야 하지만, 수도 스톡홀름의 항체 보유 비율은 전체 인구의 7.3%로 추정되는 데 그쳐 이웃 노르웨이나 덴마크, 핀란드에 비해 코로나19 피해가 큰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