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광공업 생산 20%↓…3월 감소폭보다 4배 추락

코로나 팬데믹에 수출 급감, 지난달 광공업 생산 감소 극심
대형소매점 판매는 감소세 이어갔지만 지난달보단 회복세

4월 대구 산업활동동향 요약.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4월 대구 산업활동동향 요약. 동북지방통계청 제공

지난달 대구경북의 광공업 생산이 또 다시 큰 폭으로 감소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수출 위축 등 제조업이 힘을 쓰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소매판매는 하락폭이 줄어, 다소나마 회속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북지방통계청이 29일 발표한 '4월 대구경북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의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19.7% 감소했다. 이는 3월 감소폭(4.7%)보다 4배 이상 커진 수치다.

품목별로는 자동차부품(-35.3%), 기계장비 (-20.4%), 섬유제품(-30.6%) 등의 감소가 컸다. 현대·기아차를 포함해 유럽, 미주 등에 위치한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 대다수가 4월 공장 문을 닫았다.

경북도의 지난달 광공업 생산도 12.1% 감소했다. 경북 역시 전년 동기 대비 3월의 감소(0.7%)폭을 크게 능가했다.

소매 판매는 코로나19로 인해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했으나 3월에 비해 감소폭이 줄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4월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대구가 82.3(2015년=100)으로 지난해 4월에 비해 14.1% 감소했다. 가전제품(10.0%), 음식료품(1.6%) 판매는 늘었고 의복(-33.2%), 화장품(-23.2%), 신발·가방(-16.6%)은 판매가 줄었다.

경북은 75.9로 전년동월대비 0.9% 감소했다.

3월 대형소매점 판매액 지수는 대구 65.3, 경북 69.8를 기록, 전년동월대비 각각 40.1%, 20.8% 감소해 2010년 통계작성 이래 최악을 기록한 바 있다.

지난달 전국의 광공업 생산은 전월과 비교해 6.0% 줄어들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1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반면 소매판매는 5.3%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4월에는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소 완화돼 2, 3월 위축됐던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가 일부 반등했지만 미국과 유럽의 코로나 확산 등으로 수출이 급감하는 등 제조업 생산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