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야 원구성 신경전…21대 국회 시작부터 '삐걱'

여 "일하는 국회" 야당 압박…야 "법사·예결위원장 사수"

제21대 국회 개원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잔디광장에서 꿀벌이 개원 축하 현수막이 걸린 국회 본관 건물을 배경으로 부지런히 일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국회 개원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잔디광장에서 꿀벌이 개원 축하 현수막이 걸린 국회 본관 건물을 배경으로 부지런히 일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오른쪽부터), 이해찬 대표, 박주민 최고위원이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오른쪽부터), 이해찬 대표, 박주민 최고위원이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21대 국회가 30일 시작되지만 이번에도 늑장 개원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상임위원장 배분을 둘러싼 여야의 팽팽한 신경전이 계속되고 있어서다.

더불어민주당은 29일 177석이라는 무기를 앞세워 법정시한 내 개원을 촉구한 반면 미래통합당은 민주당의 '독식' 압박에 맞서 법사·예결위원장 '사수'를 외쳤다.

국회법에 따라 첫 임시국회가 6월 5일에 열려야 하고, 상임위원장은 6월 8일까지 선출해야 하지만 현재의 협상 속도로는 '희망사항'이라는 말들이 나온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 회의에서 "새로운 국회는 정말 변화된 국회다"라며 "지각·늑장 개원이 허용돼서는 안 된다. 일하는 국회에 시동을 걸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6월 5일까지 국회의장단, 8일까지 상임위원장 선출을 마쳐야 3차 추가경정예산안을 바로 처리하고 국난 극복이 가능하다"며 야권을 압박했다.

통합당을 향해선 "아직도 20대 국회의 미몽에서 벗어나지 못한 분이 많다"며 "20대 국회까지의 잘못된 관행을 21대 국회까지 연장하려는 행위는 허용하지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통합당은 민주당의 정시 개원 으름장에 관행을 내세우며 맞섰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선자총회에서 "민주당이 승자독식으로 18개 상임위원장을 모두 가져가겠다고 하면 우리가 도저히 못 들어준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관례적으로 원구성이 완성된 뒤 의장과 상임위원장을 뽑았다"며 "민주당이 협치·상생의 정신으로 과거 야당이었을 때 주장한 정도만 들어주면 합의에 이를 수 있다"고 되받았다.

그러면서 "원구성 협상 경험이 있는 분들과 상의해서 진전이 있으면 말하겠다"며 선(先)원구성 협상·후(後)의장 선출 입장을 분명히 했다.

국회는 현행 헌법 체제로 출범한 13대 국회부터 20대까지 매번 지각 개원을 했다. 지난 20대 때도 시한보다 14일 늦게 개원했다.

21대 국회가 개원하더라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3차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임명 문제 등 '뜨거운 감자'가 도사리고 있어 험로를 예고하고 있다.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와 정진석 의원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예결위회의장에서 열린 제3차 당선자총회를 마친 뒤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와 정진석 의원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예결위회의장에서 열린 제3차 당선자총회를 마친 뒤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