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리어드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가 국내 첫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치료제로 도입된다.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가운데 최근 회복기간 단축 효과가 일부 있다는 임상 시험 결과가 나오면서다.
◆식약처, 길리어드 코리아에 '수입 명령'하기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질병관리본부)에서 렘데시비르의 특례수입을 신청하겠다고 밝히고 후속 절차를 밟기로 했다.
식약처는 질본의 특례수입 요청을 받으면 '질병관리분과위원회'를 열어 해당 의약품의 수입이 적절한지 살펴본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등 전문가그룹에 충분히 자문한 만큼 무리 없이 허가받을 전망이다.
허가를 받으면 렘데시비르 제조사인 길리어드사이언스의 한국법인 길리어드사이언스 코리아에 수입 명령을 한다.
길리어드사이언스 코리아는 본사의 재고 물량 등을 파악하고, 국내에서는 질본과 공급 시기, 필요한 물량 등을 논의해 수입한다.
이후 코로나19 환자들이 치료를 받는 병원 위주로 공급한다. 그동안 렘데시비르는 임상시험이 진행됐던 경북대학교병원, 서울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등에서만 쓸 수 있었다.
길리어드 한국법인 관계자는 "국내 코로나19 환자에 쓸 수 있도록 본사와 협조할 계획이다. 수입 명령이 나오면 우리나라에 언제까지 얼마 만큼의 물량이 필요한지 등을 정부와 논의해 수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 국립보건원 임상 결과 '회복기간 31% 단축' 효과
방역당국이 렘데시비르 특례수입을 신청하기로 한 데는 최근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임상시험 결과가 상당한 영향을 줬다.
NIH는 전 세계 10개국, 73개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했다. 그 결과 환자의 회복 기간이 15일에서 11일로 약 31% 줄었다. 사망률은 렘데시비르 투여군에서 7.1%, 위약 투여군에서 11.9%로 나타났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환자의 입원 기간을 단축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 환자가 빠르게 회복해 신속하게 퇴원할수록 각종 의료자원에 여유가 생겨서다.
임상에 참여한 오명돈(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회복 기간이 4일 줄면 인공호흡기나 중환자 병상, 산소와 같은 의료 자원이 더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의료 시설, 기구 등이 절실한 팬더믹(세계적 대유행) 상황에선 적잖은 의미가 있다"고 평했다.
국내에서 렘데시비르가 실제 쓰이려면 적절한 물량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길리어드사이언스 본사에서 유통량을 조절하는 만큼 얼마 만큼의 물량을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라며 "정부가 제약사 등과 이러한 부분을 적극적으로 이야기하고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하던 항바이러스제…코로나19로 '날개'
렘데시비르는 제조사인 길리어드는 신종 인플루엔자(신종플루) 유행의 구원투수 역할을 했던 항바이러스제 '타미플루'를 만든 제약사로 유명하다.
길리어드는 애초 길리어드사이언스에서 에볼라 치료제로 개발해왔던 항바이러스제다. 최종 임상시험에 실패하면서 전 세계 어디서도 공식 허가를 받지 못했다. 임상시험 과정에서 간 수치 상승 등 간 기능 저해, 구토, 호흡부전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기도 했다.
그로 인해 퇴출되는 듯했던 렘데시비르는 올해 1월 길리어드가 미·중 의료진과 코로나19 환자에 투여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혀 주목받았다.
임상시험 때 나온 부작용을 감안하더라도 약물 사용으로 인한 '이득'이 더 크다는 게 의료계의 중론이다. 코로나19 유행이 지속하는 상황에서 중증 환자의 회복을 돕고 사망률을 떨어뜨릴 만한 의약품이 마땅치 않아서다.
실제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한국보다 앞선 이달 초 렘데시비르를 산소 치료가 필요한 중증 이상 코로나19 환자에 쓸 수 있도록 긴급사용 승인했다.
다만, 위중 환자에게서 확실한 효과가 확인되지 않은 것은 한계다. NIH 임상시험에서 렘데시비르는 환자가 산소호흡기를 장착해야 할 정도로 증상이 나빠지기 전에 사용해야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엄 교수는 "코로나19 치료에 쓸 수 있는 약이 없는 상황에서는 약물 사용의 이득이 더 크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 다만 중증 이상의 위중 환자에게 처방했을 때의 뚜렷한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