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폭염·감염 대비 '분산형 대피 공간' 만들자

대구지속가능발전協 긴급죄담회
"보건·복지 서비스 일원화 시키고 노인·쪽방촌 건강관리도 나서야"

대구의 낮 최고기온이 31.3도까지 오른 지난 1일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앞 스마트 그늘막 아래에서 시민들이 횡단보도 보행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대구의 낮 최고기온이 31.3도까지 오른 지난 1일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앞 스마트 그늘막 아래에서 시민들이 횡단보도 보행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속에서 올해 대구의 여름은 평년보다 더 높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도록 폭염 정책을 시급하게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집단체류와 밀접접촉을 최소화하는 '분산형 대피 공간'의 도입을 비롯해 야외녹지 공간 확충과 옥상녹화 등 비대면 사업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노인과 쪽방 거주민 등 취약계층 건강관리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는 29일 '코로나19 방역대책과 폭염대응방안'이란 주제로 긴급좌담회를 열고, 감염병 예방과 무더위 대책 등 올 여름 지역사회 건강관리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분산과 비접촉이 핵심인 '생활 속 거리두기'를 유지하면서도 더위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제안들이 제기됐다.

이날 '코로나19 방역과 연계한 폭염대책 추진방안'에 대해 주제발표에 나선 권용석 대구경북연구원 스마트공간연구실 부연구위원은 ▷개인별 더위 적응 능력 향상 ▷공간 분산형으로 전환 ▷보건·복지 서비스 일원화로 대면접촉 최소화 ▷비대면 사업·공간 확대 등을 제시했다.

세부적으로 소형 냉방장치를 무료로 대여하고, 치맥페스티벌 등 행사는 한 곳이 아니라 여러 곳으로 나눠 소규모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로당 등 무더위쉼터의 공간도 더 넓히고,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돌봄 서비스도 일원화해 접촉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양산 쓰기와 옥상녹화, 야외녹지공간 등 비대면 사업 비중을 더 확대할 것을 주문했다.

권 부연구위원은 "코로나19의 재확산 우려가 있는 가운데 올 여름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이 50% 이상으로 예상된다"며 "집단체류와 밀접접촉 최소화 등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폭염 대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했다.

취약계층에 대한 대응에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건엽 경북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노인과 기저 질환자 등 코로나19와 폭염에 대한 취약계층은 거의 일치한다"며 "감염과 더위라는 조건에서 특히 취약계층의 건강 피해가 더 크기 때문에 안전과 보건복지 등 여러 분야가 '한팀'이 돼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