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 일부 과수농가에서 '식물 코로나19'로 불리는 과수화상병 의심 신고가 접수돼 방역당국이 비상 대응에 나섰다.
경북도와 영주시 등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영주시 부석면 한 사과농장에서 과수화상병 의심 개체 수십 그루가 확인돼 국립농업과학원이 정밀 검사중이다. 31일에는 농가 2곳에서 각각 1그루, 4그루가 추가로 의심증상을 보여 정밀 검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과수화상병은 법정 검역병해충으로 사과나 배 등 장미과 식물에서 주로 발생한다. 감염되면 잎과 꽃, 가지, 줄기, 과일 등이 불에 탄 것처럼 붉은 갈색 또는 검정색으로 변해 마른다. 2015년 경기도에서 최초로 발생한 뒤 지난해까지 4개도 11개 시군에서 확진 사례가 나왔다.

문제는 최근 경북과 인접한 충북 충주와 제천에서 과수화상병이 급속히 퍼지고 있다는 점이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올해 과수화상병은 경기 안성과 충남 천안, 충북 충주·제천 등 4개 지역 45농가에서 확진 판정이 났다. 이 중 문경·영주·봉화·예천과 인접한 충주·제천이 총 34농가로 전체 확진 농가의 75%를 차지한다. 이런 가운데 영주시 농가에서 과수화상병 의심 신고가 접수되자 경북도 방역당국이 화들짝 놀란 것이다.
과수화상병은 일단 감염되면 치료약이 없고 전염력이 강해 병에 걸린 나무는 그 자리에 매몰해 폐기해야 한다. 해당 농장에서는 3년간 유사 식물을 재배할 수 없다. 방역당국은 반경 100m, 2km, 5km를 각각 방제구역, 위험구역, 관리구역으로 지정해 이동 금지 등 조치를 한다.
전국 사과재배 면적의 60%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경북에 과수화상병이 대유행할 경우 도내 농가에 큰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경북농업기술원은 영주 과수화상병 의심개체 발견에 따른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1일 오전에는 시군 농업기술센터 영상회의 개최 등으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아직 정밀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아 과수화상병이 경북까지 전파됐다고 단정할 수 없다. 유사 증세를 보이지만 전염력은 약한 가지검은마름병일 가능성도 있다. 그럼에도 도내 피해 최소화를 위해 선제 방역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