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장경식 의장 "도의회 첫 원내 교섭단체 구성"

"중앙정부에 지방분권 큰 목소리"…장 경북도의회 의장 이달 마감
소수당·무소속 의원 권리 보장…日 독도 영유권 주장 철회 촉구
정책지원 전문인력 채용 추진

장경식 경상북도의회 의장이 10일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달말 임기를 종료하는 소회를 얘기하고 있다. 경북도의회 제공
장경식 경상북도의회 의장이 10일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달말 임기를 종료하는 소회를 얘기하고 있다. 경북도의회 제공

"합리적인 원내 구성과 원칙이 서는 도의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0일 경상북도의회 제316회 제1차 정례회 1차 본회의를 앞둔 오전 장경식 경북도의회 의장을 만나 임기 종료를 앞둔 소회를 들어봤다. 그는 어느 역대 도의회보다 소수당과 무소속 도의원들에게 공평한 기회와 권리를 보장했다고 자부했다.

장 의장은 "2년 전 경북도의회가 시작할 때 최초로 원내 교섭단체를 구성하고, 이들의 권리를 법으로 정해 자유롭게 의견을 내며 생동감 있는 의정 활동의 기반을 마련했다"며 "다수당의 독재와 독점을 없애고 상임위·특위에 최대한 고른 분배와 역할을 부여해 도의회가 하나의 유기적인 힘과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밑바탕을 깔았다"고 자평했다.

실제로 11대 도의회의 가장 달라진 점은 바로 교섭단체 구성이다. 자유한국당(현 미래통합당)과 더불어민주당, 그 외 정당과 무소속 등으로 구성된 경의동우회가 정식 교섭단체로 등록되면서 경쟁을 통해 의정발전에 힘을 썼다.

또한 한목소리를 낼 때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하나가 된 것이 이번 도의회였다. 올해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맞아 도의회는 제309회 제1차 정례회 1차 본회의를 독도에서 열었다. 이 자리에서 도의회는 일본의 독도 침탈 야욕을 규탄했고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중단 및 독도 영유권 주장 철회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장 의장은 "독도는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경상북도의 소중한 행정구역"이라며 "우리 도민이 실제로 거주하고 어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지자체와 정부에 세금을 납부하고 있는 그런 곳"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독도 수호는 도의장에서 물러서고 세월이 지나 소시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서라도 사명으로 여길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시도지사협의회에서도 지방분권에 큰 목소리를 내며 꾸준히 중앙정부에 의견을 제시한 것도 바로 장 의장이다. 그는 한 발 더 앞서서 도의회에 정책지원 전문인력을 채용해 도민 눈높이에 맞는 입법기관을 꿈꾸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행정부와 다소 마찰을 빚기도 했다.

장 의장은 "공무원 노조의 주장처럼 도의원의 개인비서나 보좌관으로 삼을 생각은 전혀 없다"며 "그러나 정책지원 전문인력 제도는 전국 17개 시도의회 중 12곳이 시행하고 있는 제도이다. 정책지원 전문인력이 운영되는 곳과 운영되지 않는 곳의 조례 발의 건수는 거의 두 배 차이가 날 정도"라고 했다.

장 의장은 또 "지방의회가 민의를 대표하지만 조직이나 권한, 전문성이 매우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경북도의회 최다선을 거친 그가 지방의회의 최약점으로 '입법'을 꼽은 것이다. 그는 국회처럼 도의회도 입법기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과 자질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의장은 "경북 전체 15조원 가까운 예산을 면밀히 분석하고 편법·선심성·이중·비효율 적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해 정책지원 전문인력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것은 넓은 의미에서 지방분권의 초석을 다지는 일"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