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코로나 '2차 파도' 오나…세계 각 국서 봉쇄 완화 후 환산 추세, 놀란 印지방 일부 재봉쇄

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도입한 봉쇄 조처를 완화한 일부 국가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는 모양새다. 미국을 비롯해 인도,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국가와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지역에서도 최근 들어 코로나19 확산세가 다시 격화하고 있다. 모두 봉쇄를 완화한 이후 벌어진 현상이다.

인도 정부는 10일(현지시간) 인도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27만6천583명으로 집계돼 전날보다 9천985명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달 초 하루 3천명대였던 신규 확진자 수가 봉쇄 조치를 완화한 후에 한 달 새 3배가량 증가했다. 봉쇄 완화 후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자 이에 놀란 일부 주 정부들은 이동제한 조치 등을 재도입하는 등 통제 고삐를 재차 쥐고 있다.

파키스탄 역시 지난달 초부터 코로나19 관련 봉쇄 조치를 풀면서 확진자가 급증했다. 지난달 초 1천명대이던 하루 신규 확진자가 이달 들어 4천명대로 뛰었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이날 기준 파키스탄의 하루 신규 확진자 수는 발병 이후 최고치인 5천385명으로 집계됐다. 방글라데시 역시 전날 3천171명의 확진자가 나와 하루 신규 확진자 기록을 경신했다.

인도네시아에서도 10일 신규 확진자가 1천240명으로 집계돼, 이틀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일일 신규 확진자는 이달 들어 하루 400∼900명 선을 오가다 전날 1천43명을 기록, 처음으로 1천명 선을 넘어섰고 이날 증가 폭이 더 커졌다. 이처럼 확산 증가세가 계속되지만 수도 자카르타는 지난 5일 종교시설 재개방에서 시작해 준 봉쇄조치에 해당하는 대규모 사회적 제약(PSBB)을 완화하고 있다.

봉쇄 완화에 따른 코로나19 재확산 추세는 중동 지역에서도 확인됐다. 사우디 보건부에 따르면 이날 신규 확진자는 3천717명으로 발병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최근 닷새 연속 3천명이 넘었다. 2월 말부터 강력한 통행·영업 금지 등 봉쇄정책을 시행한 사우디는 4월 24일 시작한 라마단(이슬람 금식성월)을 맞아 봉쇄를 일부 완화했다가, 확진자가 급증하자 다시 전국적 통행금지령을 내리는 등 방역 고삐를 죈 이후 한번 더 봉쇄를 완화했으나, 약 2주 만에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배가 됐다.

이란의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이달 2∼4일 사흘간 3천명을 넘어 코로나19 확산세가 가장 거셌던 3월 하순에 이어 두 번째로 정점을 찍었다. 이란 보건부는 영업·이동 제한과 같은 조처를 4월 중순부터 점차 완화하면서 후제스탄주 등 국경 지대를 중심으로 확진자가 빠르게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도 경제 재개를 위해 봉쇄를 완화한 일부 주에서 코로나19 재확산 우려가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경제 재가동과 대규모 시위로 사람들의 이동·접촉이 활발해진 가운데 애리조나·텍사스주 등 4개 주에서 코로나19 2차 유행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