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라는 표기를 앞으로 H.O.T. 공연과 굿즈 제품 등에서 볼 수 있을 전망이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허법원 2부(김경란 부장판사)는 H.O.T. 콘서트 기획사 솔트이노베이션이 김모 SM엔터테인먼트 전 대표에게 낸 상표권 등록 무효 소송에서 원고(솔트이노베이션) 청구를 인용했다.
앞서 H.O.T. 재결합에 따른 콘서트 준비가 진행되고 있던 2018년쯤 솔트이노베이션은 김 전 대표로부터 상표권 침해 중지 요청 내용증명을 받았다.
H.O.T. 상표권은 김 전 대표가 지난 2010년 등록을 마친 것이다.
이에 솔트이노베이션은 김 전 대표를 상대로 해당 상표권의 등록 무효 심판을 특허심판원에 청구하기도 했지만 기각된 바 있다.
솔트이노베이션은 당시 "김 전 대표가 등록한 H.O.T. 상표는 먼저 사용되던 상표와 동일 및 유사해 오인할 염려가 있다"고 청구했는데, 이에 특허심판원은 김 전 대표를 선 사용상표 사용자로 봤던 것이다.
이 때문에 H.O.T.는 H, O, T 등 알파벳 3개와 온점(.) 3개를 조합한 표기 대신 'High-Five of Teenagers'(하이 파이브 오브 틴에이저스)라는 문구를 공연 등에 대신 써야 했다.
그런데 이 판단을 이번에 특허법원이 잘못됐다고 판단한 것이다.
H.O.T. 상표 권리자는 김 전 대표가 아니라 SM엔터테인먼트라는 게 근거이다.
재판부는 "피고(김 전 대표)는 H.O.T. 가수들로부터 상표 사용 허락 동의서를 받았다고는 하지만, 이 때의 동의는 1996~1997년 출원한 상표 등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동의서에는 미성년자였던 H.O.T. 가수들의 날인만 있는 점, H.O.T. 가수들이 이수만의 SM기획과 전속계약을 했던 점을 고려하면, 당시 김 전 대표에게 선 사용상표권을 양도한 것은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김 전 대표가 H.O.T. 상표권 등록을 한 것에 대해서도 "선 사용상표가 이미 저명한 상태였고, 김 전 대표는 선 사용상표를 모방해 부당 이득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상표권을 출원한 것으로 봐야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특히 앞서 H.O.T. 팬들도 강하게 문제 삼은 부분.
김 전 대표는 H.O.T.를 캐스팅한 연예기획자로 알려져 있다. 2001~2004년 SM엔터테인먼트 대표를 지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