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H.O.T.가 이겼다 "상표권 소송 승소"

H.O.T. 콘서트 포스터. 솔트이노베이션 제공
H.O.T. 콘서트 포스터. 솔트이노베이션 제공

H.O.T.라는 표기를 앞으로 H.O.T. 공연과 굿즈 제품 등에서 볼 수 있을 전망이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허법원 2부(김경란 부장판사)는 H.O.T. 콘서트 기획사 솔트이노베이션이 김모 SM엔터테인먼트 전 대표에게 낸 상표권 등록 무효 소송에서 원고(솔트이노베이션) 청구를 인용했다.

앞서 H.O.T. 재결합에 따른 콘서트 준비가 진행되고 있던 2018년쯤 솔트이노베이션은 김 전 대표로부터 상표권 침해 중지 요청 내용증명을 받았다.

H.O.T. 상표권은 김 전 대표가 지난 2010년 등록을 마친 것이다.

이에 솔트이노베이션은 김 전 대표를 상대로 해당 상표권의 등록 무효 심판을 특허심판원에 청구하기도 했지만 기각된 바 있다.

솔트이노베이션은 당시 "김 전 대표가 등록한 H.O.T. 상표는 먼저 사용되던 상표와 동일 및 유사해 오인할 염려가 있다"고 청구했는데, 이에 특허심판원은 김 전 대표를 선 사용상표 사용자로 봤던 것이다.

이 때문에 H.O.T.는 H, O, T 등 알파벳 3개와 온점(.) 3개를 조합한 표기 대신 'High-Five of Teenagers'(하이 파이브 오브 틴에이저스)라는 문구를 공연 등에 대신 써야 했다.

그런데 이 판단을 이번에 특허법원이 잘못됐다고 판단한 것이다.

H.O.T. 상표 권리자는 김 전 대표가 아니라 SM엔터테인먼트라는 게 근거이다.

재판부는 "피고(김 전 대표)는 H.O.T. 가수들로부터 상표 사용 허락 동의서를 받았다고는 하지만, 이 때의 동의는 1996~1997년 출원한 상표 등에 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동의서에는 미성년자였던 H.O.T. 가수들의 날인만 있는 점, H.O.T. 가수들이 이수만의 SM기획과 전속계약을 했던 점을 고려하면, 당시 김 전 대표에게 선 사용상표권을 양도한 것은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김 전 대표가 H.O.T. 상표권 등록을 한 것에 대해서도 "선 사용상표가 이미 저명한 상태였고, 김 전 대표는 선 사용상표를 모방해 부당 이득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상표권을 출원한 것으로 봐야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특히 앞서 H.O.T. 팬들도 강하게 문제 삼은 부분.

김 전 대표는 H.O.T.를 캐스팅한 연예기획자로 알려져 있다. 2001~2004년 SM엔터테인먼트 대표를 지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