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강남 아파트 처분 결정 노영민 "참모들도 정리하라"

다른 청와대 참모들도 매각 압박 심해질 듯
정세균 총리 "고위 공직자도 집 팔아라"...고위 공직자들도 강제 매각 압박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7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7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8일 서울 강남의 반포 아파트를 이달 안에 매각하기로 했다. 노 실장이 서울 강남 아파트를 남기고 청주 아파트만 팔았다는 소식에 "똘똘한 한 채를 끝내 챙겼다"는 비난이 쇄도하자 노 실장이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이에 청와대의 다른 다주택 참모들을 향한 처분 압박이 커진 것은 물론, 정세균 국무총리까지 나서 "다주택 보유 고위 공직자는 집을 매각하라"고 지시, 고위 공직자들에 대한 강제 매각 압박이 시작됐다.

노 실장은 최근 다주택 참모들을 향해 이달 말까지 1주택만 남기고 모두 팔라고 권고한 뒤 자신도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아파트와 충북 청주의 아파트를 저울질하다 청주 아파트를 매각해 1주택자가 됐다. 그러나 이후 노 실장은 여론의 몰매를 맞았고 결국 이날 반포 아파트를 처분키로 했다.

노 실장이 강남 아파트 처분에 나섬으로써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참모 중 다주택자 12명에 대한 매각 압박이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에서는 김조원 민정수석, 김거성 시민사회수석, 김외숙 인사수석, 황덕순 일자리 수석, 여현호 국정홍보비서관, 박진규 신남방 신북방 비서관, 조성재 고용노동비서관, 윤성원 국토교통비서관, 김광진 정무비서관 등이 다주택자로 집계됐다.

특히 김조원 수석의 경우, 지난 3월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당시 본인 명의의 서울 강남구 도곡동 아파트와 배우자 명의의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를 신고한 바 있어 김 수석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이른바 강남 4구 내에 고가 아파트 두 채를 가진 데다, 공직자들의 기강을 잡아야 하는 민정수석의 상징성까지 더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일부 참모의 경우 일방적 매각 권고에 응할 수 없다며 집을 팔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정세균 국무총리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부동산 문제와 관련, "각 부처는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해 고위공직자 주택보유 실태를 조속히 파악하고, 다주택자는 하루빨리 매각할 수 있게 조치를 취해달라"고 말했다고 김영수 총리실 공보실장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다주택 고위 공직자들에 대한 매각 압박이 현실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