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자와 함께] "3억원 대 용역 계약, 전국 단위 입찰이라니"

경상북도 발주 영덕군 송천 재해복구 공사 건폐물 처리용역 2건 입찰
지역 처리업체들 "코로나19로 힘든데 지역 업체 외면한 이해 못할 행정"
경북도 "2개로 나눴는데도 기초 금액이 지역제한 입찰 규모를 넘겨 불가피"

지난 2019년 10월 제18호 태풍
지난 2019년 10월 제18호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영덕군 영해면과 병곡면을 사이를 송천의 송천교 2곳이 붕괴되는 피해를 입었다. 경북도는 현재 송천의 재해복구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매일신문DB

경상북도가 지역 재해복구공사 과정에 발생한 건설폐기물 처리용역을 발주하면서 전국 단위 입찰에 부쳐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지난 5월 경북도가 태풍 복구사업에서 지역업체에 최대한 기회가 돌아가도록 하겠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것과 다르기 때문이다.

관련 업체들에 따르면 경북도는 최근 영덕군 송천 재해복구공사 건설폐기물 처리용역 발주를 하면서 기초금액 4억1천만원과 3억8천만원 등 2개 사업으로 입찰을 공고했다. 전국 90여 업체가 참가한 입찰에선 3억5천여만원과 3억3천여만원으로 경북 소재 2개 업체가 1순위 낙찰을 받았다. 하지만 이들이 적격심사 과정에서 전국 업체들과 경쟁하다 보면 외지 업체가 계약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경북 건폐물처리업 한 관계자는 "지역에 100여 회사가 등록돼 있지만 전국 입찰을 할 경우 500여 업체가 경쟁한다. 당연히 지역업체가 사업을 따낼 확률은 확 떨어진다"며 "경북도가 지역을 제한할 방법을 고려하지 않은 점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했다.

만약 경북도가 해당 사업을 3개 이상으로 쪼갰다면 대구경북 지역제한 입찰도 가능했다는 것이다. 용역의 지역제한 발주 기준은 2019년 행정안전부 장관 고시에 따라 3억1천만원 미만이다.

이에 대해 경북도 관계자는 "각종 공사 입찰 때 지역 업체들이 수탁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의도적으로 전국 단위 입찰을 한 것은 아니다"면서 "해당 공사지구 폐기물 처리의 효율성을 고려해 사업 구간을 2곳으로 나눴는데 금액이 지역입찰이 가능한 규모를 넘겨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고 해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