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박원순 서울시장 장례 절차가 마무리된 13일 만남을 갖고 제21대 국회 개원식을 비롯해 7월 임시국회 의사일정 협의에 나섰지만, 합의에는 실패했다.
이날 오후 김영진 더불어민주당·김성원 미래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만나 개원식과 야당 몫 국회부의장과 정보위원장 선출, 본회의 일정 등을 두고 1시간가량 논의했지만, 최종 결론에는 이르지 못한 채 추가 논의를 이어가기로 하고 헤어졌다.
회동 뒤 김성원 원내수석부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여야가 서로 의견을 제시하면서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추후 더 진전된 협상을 통해서 결과를 다시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김영진 원내수석부대표도 "개원식과 각 당 교섭단체 대표연설, 대정부질문, 상임위원회 활동 등 7월 임시국회에서 처리해야 할 의사일정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았는데, 각 당 의견이 있고 조금 더 조정할 문제가 있어서 한 번 더 만나 논의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15일 본회의 개의도 연기될 전망이다. 통합당에서 이날 고(故) 백선엽 장군(예비역 육군 대장) 영결식을 이유로 본회의 일정 조정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 정치권에서는 애초 이번 협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지난 6일 문을 연 7월 임시국회와 관련한 여야 협상은 10일 박 시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제동이 걸렸다. 민주당은 장례 절차가 끝난 이날을 기점으로 협상을 재개해 오는 15일 본회의 개의를 추진했다.
그 사이 통합당은 앞서 여당이 가져간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돌려주지 않는 한 부의장을 선출하지 않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야당 몫 부의장이 정해지지 않으면 정보위원장 선출은 물론,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 일정도 잡기 어렵다.
게다가 여야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후보 추천위원 문제, 윤석열 검찰총장을 법사위에 출석시키는 문제 등을 놓고도 입장이 갈린다.
한편, 21대 국회 개원식은 1987년 개헌 이후 '최장 지각' 기록을 연일 경신하고 있다. 개원식은 국회법에 관련 조항이 없어 여야 합의로 일정을 정해 왔다. 21대 국회 이전에는 18대 국회가 2008년 7월11일로 가장 늦은 개원식을 열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