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포스트 코로나 세계는 우리가 경험 못 한 세계로 이전과 확연히 다르다"면서 "'버티기'와 '일어서기'에 그쳐서는 안 되며 신속한 개혁을 통한 '달려가기'가 함께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민보고대회에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홍 부총리는 "비대면과 디지털화가 가파르게 진행되고 저탄소 친환경 요구도 거세지고 있다"며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위기의 직격탄이 취약계층에 집중되며 우리 경제사회의 취약한 연결고리에 대한 보강 목소리가 커졌다"고 추진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정부는 한국판 뉴딜을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코로나 이후 글로벌 경제 선도를 위한 국가발전전략이라고 규정했다.
위기를 기회 삼아 한국을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탄소의존 경제에서 저탄소 경제로, 불평등 사회에서 포용사회로 도약시키겠다는 구상이다.
홍 부총리는 이어 "한국판 뉴딜은 재정투자가 중심이지만 규제 혁파와 제도 개선 과제도 함께 추진된다"며 "한국판 뉴딜 재정투자는 단순히 마중물이며 이를 토대로 민간이 대규모 투자와 새 산업을 일으키는 등 화답하는 펌프질이 있어야겠다"고 주문했다.
홍 부총리는 디지털 뉴딜에 대해 "2025년까지 58조원을 투자해 국가 경제와 국민의 삶에 디지털이라는 옷을 입히는 것"이라며 "디지털, 네트워크, AI(인공지능) 생태계를 강화하고 비대면 산업을 육성하며 SOC를 디지털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린뉴딜에 대해선 "2025년까지 73조원을 투자해 일자리 66만개를 창출하겠다"며 "도시 공간 생활 인프라의 녹색 전환, 저탄소 분산형 에너지 확대,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구축 등을 추진하겠다"고 부연했다.
고용 안전망 강화와 관련해선 "고용충격으로부터 취업 취약계층을 국가가 적극 보호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홍 부총리는 "한국판 뉴딜은 후버댐으로 상징되는 미국판 뉴딜과 차이가 있다. 한국판 뉴딜은 토목사업과 구별되는 디지털 그린 인프라 작업이자, 데이터 댐 구축과 같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래 먹을거리 창출을 위한 토대 구축 작업"이라며 "환경친화적 사회로 전환을 위한 선도 프로그램이고, 인재 양성을 위한 장기 투자 성격도 지닌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 주재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를 설치하고 관계장관회의를 여는 등 협업 강화에 각별히 노력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