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지속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백신 개발이 절실하지만 본격적인 대량생산은 내년 말에나 가능하다는 우울한 전망이 나왔다.
다만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으로 만드는 혈장치료제의 경우 연내 개발을 목표로 하반기 중 임상시험을 거칠 예정이다. 정부는 "아직 백신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국민 개개인의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개인 위생을 거듭 강조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14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내년이 가기 전에 국내에서도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입증하고 대량생산이 시작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백신은 건강한 사람들에게 놓는 것이기 때문에 효과 이상으로 안전 문제가 매우 중요하고 전략, 수급, 운송체계, 접종 우선순위, 안전성 모니터링, 접종에 따르는 시간 소요 등 부가적인 과제가 너무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설령 백신이 개발된다 해도 국민 중 일정 수준 이상의 면역도와 방어력을 갖춘 피접종 인력을 확보하는 것도 난제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다만, 혈장치료제의 경우 연내 개발을 목표로 이르면 오는 9월 임상시험을 시작할 계획이다. 혈장치료제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장을 채취한 뒤 농축해 약으로 만든다. 이날까지 390명의 완치자가 혈장 공여 참여 의사를 밝혔고, 이들 중 182명이 실제 혈장을 제공했다.
권 부본부장은 "확진자들의 참여로 임상시험용 혈장치료제를 만들 수 있는 분량의 혈장이 확보됐으며 이번 주 내로 임상시험용 제제 생산에 들어간다"며 "임상시험용 혈장 제제를 만드는 데만 길게는 한 달 가까이 걸려 9월 초에 임상시험이 시작되고 올해 안에는 혈장치료제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권 부본부장은 이날 "대부분의 국가들이 일상으로 복귀 및 경제회복을 위해 비슷하게 봉쇄를 완화했다"며 "그 결과 일부 국가에서는 신종 코로나 유행이 다시 시작되거나 확산세가 가팔라지는 등의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직 등장하지 않은 백신에 대한 기대를 하는 것은 매우 성급하고, 유행을 종식한다는 표현도 기대일 뿐"이라며 "오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개인 위생을 통해 유행 규모를 억제하면서 관리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당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