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포항 송도해수욕장 복원용 모래 밀반출, 철저히 수사해야

해수욕장 백사장을 복원하는 데 사용돼야 할 모래가 업자에 의해 몰래 빼돌려져 불법 거래된 사실이 확인됐다. 포항시가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벌이는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모래를 업자가 빼돌려 골재 시장에 팔아넘겼는데도 시 당국은 까맣게 몰랐다고 하니 말문이 막힌다. 포항시가 이를 뒤늦게 파악하고 공사 중단 등 조치에 나섰다고는 하지만 이런 뒷북 행정도 없다.

빼돌려진 모래는 포항 송도해수욕장 백사장 복원용이다. 포항시는 1970, 80년대까지만 해도 동해안 최고의 해수욕장으로 명성을 떨쳤지만 1983년 태풍으로 모래가 완전히 유실돼 2007년에 기능을 상실한 송도해수욕장의 백사장을 복원하겠다는 계획을 2012년부터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포항시는 186억원을 들여 수중 방파제 3곳을 설치한 데 이어, 올 연말까지 모래 15만t을 쏟아붓는 방법으로 송도해수욕장 백사장을 복원하기로 했다.

포항시는 포항 북구청 신청사 및 청소년 문화의 집 건립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모래를 백사장 복원에 활용하겠다고 했는데, 정작 업자는 현장에서 발생한 모래를 불법 반출해 부산 지역 골재 시장에 팔아넘겼다. 그 양만 해도 25t 덤프트럭 300대 분량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포항시는 백사장 복원에 공공시설 공사 현장 모래를 활용함으로써 10억원의 예산을 아끼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홍보했지만, 업자가 부당이득을 취하는 것을 알아채지 못했다.

여기에는 불법을 저지른 업체에 형사적·민사적 책임을 물어야 하지만, 포항시도 자유롭다 할 수 없다. 공공시설 공사 현장에서 모래가 몰래 빼돌려지는 등 '대동강 물' 팔아먹는 격의 불법행위가 벌어진 만큼 포항시는 감리단에 책임을 떠넘기고 뒤로 빠져서 안 된다. 경찰은 사건을 철저하게 수사해야 하고 업자가 불법으로 취득한 이익에 대해서는 의당 환수 조치를 해야 한다. 또한 모래 불법 유출 사례는 비단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고 하니 이참에 재발 방지책도 세워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