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영웅'이라는 평가를 받는 고(故) 백선엽 장군의 영결식이 15일 엄숙하게 거행됐다.
이날 오전 7시 30분쯤 서울아산병원 영결식장에서 열린 영결식에는 서욱 육군참모총장 주관으로 유가족과 정경두 국방부 장관, 박한기 합동참모본부 의장, 로버트 에이브럼스 연합사령관, 김유근 국가안보실 1차장, 역대 육군참모총장, 보훈단체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 국회 국방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 등도 자리했다.
군악대의 비장한 연주와 함께 육군 의장대원과 미군이 위패, 영정, 고인이 생전에 받았던 태극무공훈장과 미국 은성무공훈장, 태극기로 감싼 백 장군 관을 들고 영결식장으로 들어왔다.
장의위원장인 서 총장은 조사에서 "작년 5월 장군님을 예방했을 때 더 강한 육군을 만들어 달라시던 그 말씀은 아직도 제 귓가에 맴돌고 있다"며 "장군님이 사랑하는 전우들과 함께 피와 땀과 눈물로 지킨 대한민국을 굳건하게 지켜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1사단장을 지낸 송영근 예비역 중장은 추도사에서 6·25 전쟁 당시 다부동 전투 승리를 이끌었던 고인의 공로를 상기하며 "당시 패배했다면 오늘의 대한민국은 없었을 것이고 저나 여러분도 이 자리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1사단은 고인이 6·25 당시 이끈 부대다. 또 송 중장은 "지금도 국가장으로 동작동 서울현충원에 모시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어서 추도사를 한 에이브럼스 사령관은 고인을 "철통같은 동맹의 창시자 중 한 분"으로 평가하며 "한국전쟁 지상 전투의 가장 절망적이고 가장 암울한 순간에서 유엔군 전력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한국군을 이끌었고, 한국군의 기초를 다진 분"이라고 추모했다.
그는 "전우여, 안녕히 가시라(Farewell, friend)"는 인사와 함께 유엔군사령부와 한미연합사령부 주한미군사령부를 대표해 삼가 조의를 표했다.
백 장군 장남인 백남혁(67) 씨는 "아버지는 모든 전우의 이름을 기억하며 그리워하고 보고 싶어 했다"며 "이제 아버지의 꿈이 이뤄졌다. 저 하늘에서 모든 전우와 만나게 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부인 노인숙 여사를 시작으로 주요 참석자들의 헌화 및 분향이 끝난 뒤 영구차는 봉송대원들의 호위를 받으며 안장식이 열리는 대전현충원으로 향했다. 고인의 뜻에 따라 낙동강 다부동과 문산 파평산, 파주 봉일천 등 6·25 전쟁 격전지 8곳의 흙을 묘역에 뿌릴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