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중 갈등 갈수록 날카로와져…중국, 미국 대사 초치 보복 경고, 미국은 중국 공산당원 입국금지 등 검토

中외교부 부부장, 美대사에 "미국 잘못된 길 더 가지말라"
신장·티베트·남중국해 문제 미국 개입에도 불만 제기

홍콩 민주동맹 회원들이 16일 홍콩에 있는 미국 영사관 앞에서 홍콩 자치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홍콩 민주동맹 회원들이 16일 홍콩에 있는 미국 영사관 앞에서 홍콩 자치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에 대한 특별대우를 끝내는 행정명령과 제재 법안에 서명하자 중국 정부가 주중 미국 대사를 초치해 강력한 불만과 보복을 경고하는 등 미·중이 갈수록 날카롭게 부딪히고 있다. 중국의 강수에 미국은 중국 공산당원 입국 금지와 추방을 검토하는가 하면 화웨이 등 중국 기술기업 인사들에 대한 비자제한 제재에 나섰다.

1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정쩌광(鄭澤光)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전날 베이징에서 테리 브랜스태드 중국 주재 미국 대사를 불러 미국의 홍콩 제재에 대해 엄정 교섭을 제기했다.

정쩌광 부부장은 이 자리에서 "미국이 홍콩 보안법을 악의적으로 헐뜯고 홍콩에 대한 특별대우를 취소했으며 중국의 기관과 개인에 대해 제재를 위협했다"면서 "이는 중국 내정에 대한 난폭한 간섭으로 국제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며 중국은 이에 대해 결연히 반대하며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은 자신의 정당한 이익을 지키기 위해 미국의 관련 기관과 개인에 대한 제재를 포함해 미국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필요한 반응을 보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 부부장은 미국이 최근 신장(新疆), 시짱(西藏.티베트), 남중국해 등 문제에서도 중국 내정을 간섭해 중국의 이익을 해치고 있다고 불만을 쏟아냈다. 이어 "미국이 중국에 대한 모독과 도발을 중지하고 잘못된 길에서 더 멀리 가지 않고 즉각 개선하길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미국 정부는 중국 공산당원이나 가족의 미국 방문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선포할 내용의 초안에는 이미 미국에 체류 중인 공산당원과 가족의 비자를 취소하는 것도 담겼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여기에 공산당뿐만 아니라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이나 국영기업 임원의 방문도 불허하는 방안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내부 추산에 따르면 2억7천만명이 이번 조치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고 NYT가 전했다. 다만 선포안이 아직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며, 트럼프 대통령이 거부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언은 강경하게 해도 실제 행동은 달랐던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미국 싱크탱크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주드 블랑쉐 중국 담당 연구원은 "중국 공산당원이라도 정책 결정에 관여하지 않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며 "중국 인구의 거의 10%를 타깃으로 삼기 때문에 반미 정서를 촉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언론 브리핑과 대담 행사를 통해 중국 통신장비업체인 화웨이를 비롯해 중국 기술기업 인사들이 인권 탄압에 관여했다는 이유를 들어 비자 제한 제재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중국 기업이 소유한 앱 '틱톡'을 금지할 것이냐는 질문에 "미국인의 정보가 중국 공산당 수중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범위한 검토를 진행중"이라고 답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