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콧물 검사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문재일 뇌·인지과학 교수 연구팀은 22일 치매 환자의 콧물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핵심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베타(Amyloid-β)의 응집체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현재 DGIST와 연구팀은 국내외 지적재산권을 확보해 기술 실용화를 위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조기선별키트 시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치매를 조기에 진단해 증상 악화를 막거나 늦추는데 큰 도움을 줄 전망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 나타나는 후각 기능 이상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우선 콧물 시료를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핵심 바이오마커인 수용성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 검출에 성공했다.
이어 경도 환자와 중등도 환자 그룹을 나누고 동일 연령대 정상 대조군 그룹과 비교해 환자들의 콧물에 아밀로이드-베타의 응집체 발현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콧물 속에 더 높은 응집체 발현을 보인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3년 이내에 인지능력이 더욱 악화됨을 규명했다.
문재일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를 활용해 조기선별키트를 개발 중이고, 이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조기 검사를 받을 수 있어 국가적으로 사회적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에 지난 8일 온라인 게재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