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한미군 빼는 지시 없었다면서도 미군 최적화 거론한 미 국방

향후 감축여부 선 안 긋고 "모든 사령부서 병력 최적화 위한 조정 계속 검토"
합참의장 이어 순환배치 중요성 언급…순환배치 중단 방식 감축 가능성 작은듯
미 언론, 최적화 검토에 고위 당국자 인용 "절반 정도 이뤄져…결정은 아직"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장관이 주한미군을 빼는 지시를 내리지 않았다면서도 전 세계 미군 병력 최적화를 검토한다는 기본적 입장을 재확인했다. 마크 밀리 합참의장에 이어 에스퍼 장관도 순환배치의 중요성을 언급, 당장 순환배치를 중단하는 방식으로 주한미군 감축이 이뤄지는 건 가능성이 작은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에스퍼 장관은 21일(현지시간) 영국 싱크탱크와의 화상 세미나에서 '한국에서 미군을 뺄 수 있다는 최근의 보도가 사실인가'라는 질문을 받고 "한반도에서 (미군) 병력을 철수하라는 명령을 내린 적이 없다"고 답해 주한미군 감축이나 철수와 관련한 지시가 이뤄진 것은 없다고 확인했다.

에스퍼 장관은 이어 모든 사령부에서의 최적화된 병력 배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모든 전구(戰區)의 모든 사령부에서 병력 최적화를 확실히 하기 위한 조정을 계속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과 러시아 견제에 초점을 맞춘 미국의 국가국방전략(NDS)에 따라 일정 부분 해외주둔 미군 배치에 변경이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것이다.

미 언론에서는 이와 같은 검토가 절반 정도 이뤄졌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전날 기사에서 "에스퍼 장관은 자원이 더 잘 배치될 수 있는지 파악하고 NDS를 지원하기 위해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 미군 병력 검토에 착수했다"면서 검토가 절반 정도 이뤄졌다고 전했다.

앞으로 나머지 검토와 최종 결정 과정에서 해외주둔 미군에 대한 전체적 조정 과정에서 주한미군의 규모 등에 대한 조정이 있을 가능성이 없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에스퍼 장관은 이날 질의응답에서 "나는 전구에서의 더 많은 순환배치를 계속 원한다. 세계적 도전 대응에 있어 미국에 더 큰 전략적 유연성을 주기 때문"이라며 미군 순환배치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주한미군 감축에 있어 가장 유력한 방안은 현재 순환배치로 임무를 마친 병력을 뺀 뒤 보충하지 않는 방식이 거론된다. 당장 순환배치에 손을 대는 방식으로의 주한미군 감축은 이뤄지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 발언으로도 볼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