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군위군 '초 대박 앵커 시설' 신공항 무산시켜서는 안돼

경주 십수년 전 방폐장 유치로 원전 클러스터 도시로 탈바꿈
김천시 내륙물류기지 유치 무산 아쉬워... 군위, 버스 지나간 뒤 손 흔드는 실수 하지 않아야...

지난 20일 경북 군위군청 앞에서
지난 20일 경북 군위군청 앞에서 '소보공항 무산방지 범군민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이 소보 유치 신청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경북 군위군이 '우보 공항'을 고수하면서 통합신공항 사업이 무산 위기에 놓인 가운데 버스 지나간 뒤 손 흔드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때 잘못된 판단으로 대형 앵커시설을 놓친 지방자치단체들의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 A 지자체는 국책사업 유치 실패로 지역발전 기회를 놓친 사례로 자주 거론된다. 2003년 해당 지자체는 방사성폐기물처리장 유치 신청을 했고, 정부 역시 적합지로 꼽았지만 격렬한 주민 반대에 부딪혀 사업을 접었다.

반면 방폐장을 유치한 경주시는 ▷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이전 ▷양성자가속기 사업 ▷특별지원금 3천억원 ▷방폐물 반입에 따른 수수료 등 특별지원사업 4개 예산 1조3천773억원을 확보했다. 또 정부 10개 부처가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사업을 펼쳐 3조4천120억원을 투입하고 있다. 여기에다 원전현장인력양성원, 혁신원자력기술연구원, 중수로해체기술원, 방사성폐기물정밀분석센터 등 대형 국책기관이 줄줄이 들어서거나 설립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하지만 A 지자체의 산업 구조는 과거와 비해 별다른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방폐장 유치에 반대한 것을 후회하는 목소리도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경북 김천시 역시 앵커시설을 놓친 사례로 언급된다. 정부는 전국 5대 물류거점에 내륙물류기지를 건설하기로 하고 김천 아포읍 일원을 영남권 내륙화물기지 후보지로 정했다. 하지만 주민 반대, 사업 신청자 부재 등을 이유로 정부는 2001년 칠곡군으로 입지를 변경했다.

이후 칠곡 지천면 연화리 일원에는 2천428억원이 투입돼 복합화물터미널, 컨테이너 기지 등이 2010년 완공됐다. 3km 진입도로, 5.4km 인입철도가 새로 생겼고 경부고속도로 칠곡물류IC(2009년)도 준공됐다.

칠곡군은 복합화물터미널을 발판으로 해 쿠팡, CJ대한통운, GS칼텍스 등 굵직한 대기업 물류창고를 유치하는 성과도 냈다. 김천 주민 상당수가 경부고속도로 칠곡 지천 구간을 지날 때마다 내륙물류기지를 걷어찬 실수에 대해 아쉬워한다.

주민 반대에도 정부가 사업을 밀어붙였던 제주 해군기지(민군복합항)는 지역경제에 순기능을 하고 있다. 서귀포시 대천동 강정마을에 2016년 준공된 해군기지 덕분에 대천동 인구는 2011년 6천949명에서 지난해 1만4천10명으로 증가했다. 서귀포시 지역내총생산(GRDP) 역시 2010년 3조2천800억원에서 2016년 5조1천240억원으로 껑충 뛰었다. 39개(9천625억원) 지역발전 사업도 추진 중이다.

지역 정·재계 관계자들은 "통합신공항 건설은 대구경북이 수십년간 먹고 살 막대한 추가 사업 유치 효과를 낼 초대형 사업"이라며 "31일 후보지 신청 시한을 놓치면 후회해도 되돌릴 수 없는 만큼 현명한 판단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