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도쿄올림픽 D-1년 회의론 확산…"취소시 아베 조기퇴진 관측도"

취소되면 올림픽특수 사라지고 막대한 재정부담…정국에 큰 변수
올해 가을∼내년 초 판가름 가능성

코로나19로 한 차례 연기된 도쿄 올림픽 개막일이 23일 1년 앞으로 다가왔지만, 대회가 성사될지 여전히 불투명해 일본 내 회의론이 확산하고 있다. 올림픽 개최 여부는 일본 정국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올림픽을 취소할 경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중도 사임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온다.

코로나19가 계속 번지고 있어 계획대로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을지 일본 안팎에서 회의적인 눈길을 보내고 있다. NHK가 최근 실시한 일본 유권자 대상 여론조사에서는 예정대로 내년 7월에 올림픽을 하자는 의견이 26%에 그쳤고 66%는 취소하거나 재연기하자고 반응했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은 22일 NHK와의 인터뷰에서 "누구도 무 관객은 원하지 않지만 안전한 환경에서 올림픽을 개최하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대응하겠다"며 무관중 대회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올림픽 개최 여부에 관한 최종 판단에 관심이 쏠린다. 조직위가 발표한 일정표에 의하면 올해 9∼12월 방역 대책이나 대회 간소화와 관련한 세부 계획을 검토하고 내년 1∼3월에 방역 대책 이행을 준비하며 문제가 없는지 검증한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은 방역 대책이 공표되는 연말에 대회 개최 여부에 관한 판단이 내려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도쿄 올림픽 성사 여부는 일본 정국에 중대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대회가 열리게 되면 아베 총리는 도쿄올림픽을 유치하고 개최한 지도자라는 평가를 받으며 내년 9월 임기 만료와 더불어 정계를 은퇴하거나 임기 연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코로나19가 수습되지 않아 도쿄올림픽이 취소되는 경우 아베 총리는 책임론이 불거지는 등 큰 어려움에 직면할 전망이다. 기대했던 올림픽 특수가 사라지는 것은 물론이며 경기장 건설 등에 투입한 비용으로 막대한 재정부담까지 짊어지게 될 전망이다.

교도통신은 올림픽이 취소되는 경우 아베 총리가 "내년 가을 자민당 총재 임기 만료를 기다리지 않고 퇴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지석 선임기자·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