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부동산 규제에 촛불든 시민들…청계천에서 2천여명

25일 오후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 앞에서 열린
25일 오후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 앞에서 열린 '소급적용 남발하는 부동산 규제 정책 반대, 전국민 조세 저항운동 촛불집회'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에 항의하는 촛불집회가 2주 연속 주말 도심에서 열렸다.

18일에 이어 25일 서울 중구 예금보험공사 앞에서는 6·17대책, 7·10대책 등 투기수요를 차단하려는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에 항의하는 촛불집회가 열렸다. 참석자는 2천여명으로 일주일 전 500명보다 4배나 늘어난 규모다.

'6·17 규제 소급적용 피해자 구제를 위한 모임', '7·10 취득세 소급적용 피해자모임' 등이 주최한 이날 집회 참가자들은 청계천 남측 도로와 인도를 가득 메웠다.

'6·17 규제 소급적용 피해자 구제를 위한 모임' 인터넷 카페 대표는 "비규제지역 분양 받고 대출을 받으려면 6개월 안에 기존 주택을 매도하라는 서약서를 쓰라고 하는데 지방에서는 6개월 안에 집이 안 팔린다"며 "정부가 지방 부동산 사정을 전혀 모른다"고 했다.

이어 "평범한 서민들을 범죄인으로 만들고 겁박하고 있다"며 "정부가 징벌적 세금을 돈을 뺏어가고 있다"고 했다.

연단에 오른 한 집회 참가자는 "자유시장경제에서 본인이 피땀 흘려 집 사고 월세 받는 것이 왜 불법이고 적폐인가"라고 소리쳤다.

또 다른 참가자는 "나라에서 내라는 취득세·재산세·종부세를 다 냈고, 한 번도 탈세한 적 없이 열심히 산 사람"이라며 "2018년에는 임대사업 등록을 하면 애국자라고 하더니 이제는 투기꾼이라고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연단에 오른 참가자들의 발언이 끝날 때마다 "임차인만 국민이냐, 임대인도 국민이다", "세금이 아니라 벌금이다", "대통령은 퇴진하라" 등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이날 집회 현장에서는 '임대차 5법' 등에 반대하는 서명도 함께 진행됐다. 주최 측은 20만명의 서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 대책의 위헌성을 따지는 헌법 소원을 제기하고 포털사이트에 6·17 대책을 비판하는 내용의 실시간 검색어를 올리는 등 행동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도 네이버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이들의 주도로 '나라가 니꺼냐'라는 문구가 올라오기도 했다. 앞서 이들은 '3040 문재인에 속았다', '못살겠다 세금폭탄', '문재인 내려와', '문재인나와 을지로' 등을 실검 챌린지도 진행한 바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