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부겸 "검언유착은 오래된 적폐…공수처로 해결해야"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전 의원이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당 대표 출마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전 의원이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당 대표 출마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당권주자로 나서는 김부겸 전 의원이 26일 '검언유착' 의혹과 관련 검찰 수사심의위원회가 한동훈 검사장에게 수사 중단 및 불기소 권고한 것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김 전 의원은 검찰이 법무부 감찰 지시에도 통제받기 싫어 묵살했다며 검언유착 의혹을 고위공직자수사처가 수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공개된 녹취록 내용을 감안하면 한동훈 검사장 휴대폰 포렌식이 필요한데, 그 과정도 없이 수사 중단을 권고했다"며 검찰 수사심의위를 에둘러 비판했다.

또 그는 "녹취록에 따르면 한 검사장은 채널A 기자의 취재 방향에 동조하거나 특정인에 대한 취재를 독려했다"며 "고위공직자, 더구나 검사가 해선 안 될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김 전 의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고 간 것이 검언유착이라며 "노 전 대통령 수사 당시에도 검찰은 이른바 '흘리기'와 망신주기로, 무분별하게 가족까지 끌어들여 노 전 대통령을 압박했다"고 했다.

이어 김 전 의원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수사도 마찬가지였다며 "시간이 지나 당시 보도 내용 상당 부분이 허위였고, 수사 대상자와 그 가족 망신주기였음이 밝혀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에는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검찰의 표적이 됐다. 검찰은 이번에도 언론을 동원한 정황이 있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당 대표가 된다면 수사심의위 공정성 제고 방안 마련과 함께, 법을 개정해 연내에 공수처를 출범시키겠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그는 "공수처가 검언유착을 공정하고 철저하게 수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이에 대해서는 추호도 타협하지 않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