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시·정부, 포항지열발전소 부지 사들인다

비용 3:7 비율 합의…지진계 설치 통해 안정적 관리 가능

포항지진을 촉발한 포항시 북구 흥해읍 지열발전소에서 시추기 철거 작업이 벌어지고 있다. 매일신문DB
포항지진을 촉발한 포항시 북구 흥해읍 지열발전소에서 시추기 철거 작업이 벌어지고 있다. 매일신문DB

정부와 경북 포항시가 2017년 11월 포항지진을 촉발한 포항지열발전소 부지를 사들이기로 합의하면서 이 터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포항시는 26일 "시(30%), 산업통상자원부(70%)가 공동으로 내년에 예산을 투입해 북구 흥해읍에 있는 포항지열발전소 땅을 사들이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현재 땅 소유자인 넥스지오는 경영난으로 2018년 1월 19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 절차를 밟고 있으며 채권자들은 부지 경매를 통해 채권 회수를 추진 중이다. 부지 면적은 1만3천840여㎡로 감정가격은 약 47억원으로 알려졌다

산업부와 포항시는 지열발전소 부지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여진에 대비하기 위해 땅을 사들인 뒤 지진연구센터를 설립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대한지질학회 등과 함께 지진계와 지하수 관측설비를 설치할 방침이다.

그러나 지난해 편성한 부지 매입 예산안이 국회에서 삭감된 데 이어 올해 3월 추가경정예산안에 편성한 것도 삭감됐다. 이에 산업부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지하수 관측을 목적으로 부지를 이용할 수 있는 지하수법에 따라 포항시에 땅을 수용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포항시는 지열발전사업을 정부가 추진한 만큼 정부가 사업을 주도해야 한다는 견해를 보이며 신경전을 벌였다. 정부가 예산확보 방안을 내놓지 않으면 일시사용 수용이 어렵다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현재 산업부와 대한지질학회 등은 지난 5월 지열발전소 지하 4㎞에 있는 지열정 1∼2㎞ 지점에 설치할 심부지진계를 국내에 반입하고도 지열발전소 창고에 보관하고 있다. 포항시 관계자는 "산업부와 지열발전소 부지 확보를 위한 방안에 합의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포항지진의 핵심적인 증거가 될 가능성이 있는 지열발전소의 시추기 매각이 진행되면서 이를 반대하는 시민단체, 포항시의회 반발이 이어지고 있어 당분간 지열발전소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