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가덕신공항에 밀려선 안돼"…TK 역량 결집 목소리

부산 시의회·구군의회 청와대에 "가덕신공항 결정" 촉구
"동남권 관문공항 경쟁에서 대구경북이 앞서 나가야"

23일 오후 부산시의회와 부산지역 16개 구·군의회 의원 등이 부산시청 1층 대강당에서
23일 오후 부산시의회와 부산지역 16개 구·군의회 의원 등이 부산시청 1층 대강당에서 '가덕신공항 결정 촉구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 지역사회가 '가덕신공항'(부산 강서구) 카드를 다시 꺼내들면서 파국 위기의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조기 건설에 지역사회의 모든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부산시의회는 지난 24일 청와대 앞에서 구·군의회와 가덕신공항 결정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내는 해당 건의문을 이기헌 청와대 시민참여비서관에게 전달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국무총리실의 김해신공항(기존 김해공항 확장안) 검증 결과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가덕신공항 건설을 압박하는 자리로 읽힌다.

부산시의회 및 구·군 의원들은 이 자리에서 "지난해 12월부터 8개월여간 진행하고 있는 김해신공항 적정성 검증은 안전·소음·환경·확장성 등 공항시설의 문제점에 집중돼 있지만 정작 중요한 문제는 공항시설의 결함 유무가 아니라, 정부가 신공항 건설을 통해 지역 역량을 강화하고 실질적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정책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여부"라고 강조했다.

이들의 주장은 '김해신공항 부적정 결론=가덕신공항 건설'로 요약할 수 있다. 설령 김해신공항 적정성에 아무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가덕신공항 건설 사업을 재추진해야 한다는 억지 논리를 펴고 있다.

부산 지역사회가 이처럼 가덕신공항 여론몰이에 나서면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 사업에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통합신공항 사업이 의성-군위 갈등으로 파국 위기에 놓인 반면 가덕신공항은 내년 부산시장 보궐선거 및 2022년 대통령선거와 맞물려 다시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더불어민주당 유력 당권 주자인 이낙연 의원은 지난 23일 부산 지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김해신공항 검증) 막바지 검토에 들어간 거 같다. 기본적으로 정부가 어떤 결론을 내리든 존중할 생각이다. 다만 개인적으로는 미래를 내다보면서 확장성을 감안해 가덕도 신공항이 됐으면 하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경북 지역사회의 반대 여론과 김해공항 확장을 고수해 온 기존 정부 입장에도 불구,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한 가덕신공항 재추진이 얼마든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대구시·경북도 관계자는 "대구경북 입장에서는 부산의 가덕신공항 재추진까지 염두에 두고 통합신공항 건설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며 "어떻게든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조기 건설해 동남권 관문공항 경쟁에서 한 발 앞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