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에 음모론이 판치고 있다. 정치, 사회, 경제 등 각 분야를 망라한다. 언론도 예외는 아니다. 근래 검찰과 언론의 유착, 권력과 언론의 유착 논란으로 언론계가 떠들썩하다.
최근 기자도 음모론의 대상이 돼 지역사회에서 회자된 바 있다. 칠곡군립노인요양병원을 수탁·운영하고 있는 고산의료재단의 여러 논란 등을 기사화하면서다.
취재의 발단은 "칠곡군립노인요양병원의 치매전문병동에 환자를 입원시키려고 의뢰했더니 병원 측에서 병상이 다 찼다고 하더라", "관리가 어려운 치매환자는 가려받는다는 이야기가 있다"는 두 건의 제보에서 시작됐다.
하지만 취재를 하면 할수록 여러 문제가 드러났다.
칠곡군립노인요양병원은 치매안심병원으로 지정받겠다며 보조금 19억원(군비 13억8천만원)을 받아 지난해 치매전문병동을 지어놓고도 수익성을 이유로 7개월째 치매전문병동을 정상 가동하지 않았다. 이후 칠곡군의 지도감독에서도 치매전문병동을 전문시설이 아닌 기존 노인요양시설과 마찬가지로 운영하겠다고 밝혀 보조금 사용의 적정성 논란을 불렀다.
이 뿐 아니다. 이 요양병원은 2017년부터 요양급여비용 중 환자가 부담한 연간 본인부담 총액이 상한액을 초과하지 않았음에도 본인부담 상한액을 초과한 것으로 사전 적용해 요양급여비용으로 부당 청구했다가 지난해 1억2천만여원을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환수당했다. 요양급여비용을 부당 청구해 급여를 부정 수급한 사례다.
이 과정에서 수의 계약에 따른 특혜 논란도 불거졌다. 고산의료재단은 2009년 요양병원 개설 당시 칠곡군에 부지(2억7천만원 상당)를 기부채납했고, 군은 47억6천300만원을 들여 병원을 지었다. 이후 군은 5년씩 3차례에 걸쳐 고산의료재단에 운영을 위탁했다. 최초 위탁 이후 2차례는 모두 수의계약이었고, 지난해 8월 재계약에서는 아무런 평가(군 자체 평가 및 민간위탁적격자 심사위원회)도 없이 수의계약을 맺었다.
이런 일련의 문제를 제기한 보도 이후 고산의료재단은 '기자가 불순한 의도를 가지고 취재를 했다', '개인적 감정을 가지고 일부러 상처를 낸다' 등 허위사실을 주변에 유포했다. 동시에 재단 이사장의 인맥을 총동원해 여러 통로로 기자를 회유 및 압박해왔다.
고산의료재단의 경우처럼 자신에게 불리하거나 비판적인 이야기를 불순한 동기가 개입된 비판이라고 치부해버리는 경우를 종종 본다. 본질을 흐려 자신에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외부적으로 호도하기 위한 것이다.
비판당하면 누구나 아프겠지만 음모론으로 기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기자에게도 인권은 있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