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미, 신규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과기정통부, 제34차 연구개발특구위원회서 심의 의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구미 등 6개 지역 일원을 강소연구개발특구로 신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제34차 연구개발특구위원회 회의를 열고 '6개 강소특구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

강소특구는 혁신역량을 갖춘 대학·정부출연연구기관 등 지역 기술핵심기관 중심으로 소규모·고밀도 공공기술 사업화 거점을 육성하는 연구개발특구 모델이다.

지정되면 기술사업화 자금, 인프라, 세제혜택, 규제특례 등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지정 지역에 대해 지역 주도의 강소특구 육성을 위해 각각 보유한 혁신 자원을 기술사업화 단계별로 연계한 차별화된 맞춤형 전략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구미는 금오공대를 중심으로 지역 소재 대기업·중소기업 등 민간수요처와 협업해 민간 수요 반영, 판로개척 지원 등 공공-민간 상생 협력을 기반으로 강소특구를 육성한다.

과기정통부는 6개 강소특구에서 2025년까지 직·간접 효과로 기업유치 1천767개, 고용창출 1만3천771명, 매출증대 34조2천억원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해 지정된 강소특구의 성과와 향후 지정 및 운영방향, 연구개발특구 신기술 실증 테스트베드 도입 방향도 보고됐다.

향후 강소특구 최대 지정 개수는 17개로 한정하고 수도권의 경우 1광역 1강소특구를 원칙으로 정했다.

앞으로 강소특구를 종합 평가해 특구별 예산 차등 배분을 시행하고 필요하면 강소특구 해제도 검토하기로 했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코로나19로 지역경제가 전반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신규로 지정된 강소특구가 지역의 경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성장 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