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청 후적지 개발 용역 착수…중구청-시(市) 마찰 '일단 멈춤'

28일 용역 착수…도심 상권 침체·도심 공동화 현상 해소 등 경제효과 집중
시립박물관, 대구기록원 조성하겠다는 대구시 "용역 결과에 따라 합의할 것"

대구시청 전경. 매일신문 DB
대구시청 전경. 매일신문 DB

대구시청 후적지 개발방안에 대한 중구청의 용역 사업이 닻을 올렸다. 중구청은 도심 공동화 현상을 막을 방안을 찾을 계획이어서 애초 후적지에 대구시립박물관, 대구기록원 등을 조성하겠다고 밝힌 대구시와의 의견차가 줄여질 지 이목이 집중된다.

중구청은 지난 28일 '대구시 원도심 발전전략 및 시청 후적지 개발방안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용역은 내년 12월 마무리될 예정이다.

용역은 '역사문화관광허브 조성'이라는 큰 틀에서 중구의 경제적 효과를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중구청은 시청사 구역을 역사문화공간으로 지정한 대구시 도시기본계획을 따르되, 청사 이전에 따른 도심 상권 침체와 원도심 공동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후적지 개발의 핵심 과제로 보고 있다.

이에 대구시가 애초 역사문화관광 허브공간 구상의 하나로 제시했던 대구시립박물관, 대구기록원 조성 등을 두고 입장 차가 좁혀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난해 12월 기자 간담회에서 현 시청사 일대를 시립박물관, 대구기록원, 평생교육원 등이 잘 어우러진 역사문화관광 허브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당시 중구청은 '주민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졸속 행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해, 대구시는 중구청에서 직접 용역을 통해 개발 방안을 제안할 수 있도록 했다.

중구청 공간개발팀 관계자는 "대구시에서 시립박물관 조성 등의 이야기가 나오고는 있지만 용역 결과를 보고 진행할 것"이라며 "중구 도심 상권 침체 방지와 동성로의 유동인구를 끌어올 수 있는 방안 등 경제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대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대구시 또한 용역 결과에 따라 중구청과 합의하겠다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대구시 공간개발팀 관계자는 "시립박물관이나 대구기록원 등은 역사문화관광 허브공간 조성 방안 중 하나"라며 "중구 구민들의 상실감이 큰 만큼 용역 보고서에 따라 주민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 후적지 용도를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