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통합당, '서울 지역 지지율' 민주당 앞선 이유는?

지난 30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을 도입하는 내용의 주택임대차보호법이 통과되자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가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0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을 도입하는 내용의 주택임대차보호법이 통과되자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가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지역의 정당지지도 조사에서 미래통합당이 거의 1년만에 더불어민주당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이같은 분위기 변화는 정치권의 새로운 관심사로 부상할 전망이다.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지난 27∼29일 실시해 31일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통합당은 서울 지역에서 정당지지도 40.8%를 기록했다. 민주당(31.4%)에 비해 9.4%포인트 높은 수치다.

조국 전 법무장관 사태가 정점에 달했던 지난해 10월 2주차 조사에서 통합당의 전신인 자유한국당이 33.8%를 기록해 오차 범위 안에서 민주당(32.5%)를 앞선 이후 43주만이다. 민주당 40.0%, 통합당 35.7%를 기록한 10월 3주차부터는 '민주당 우위'가 이어졌다.

지지율 역전 현상은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 민주당의 행정수도 이전 공론화 과정에서 나온 이해찬 대표의 "서울은 천박한 도시" 발언 등이 정당지지도 역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국 18세 이상 남녀 1511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5% 포인트다.

한편 행정수도 이전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49%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같은 날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28∼30일 전국의 성인 남녀 1천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9%는 '서울시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답했다. '세종시로 이전하는 것이 좋다'는 응답은 42%였고, 9%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는 2003년 12월 조사에서 행정수도를 충청권으로 이전하는 안에 대해 찬성과 반대가 각각 44%, 43%였던 것에 비하면 반대가 더 늘어난 것이다.

이하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나 갤럽,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