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인사들이 최근 지지율이 급락 중인 정부여당을 향해 날 선 비판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홍준표 무소속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총선 압승에 취해 폭주하던 문재인 정권이 큰 위기를 맞았다"며 "9월이 되면 부동산 폭동으로 문 정권이 무너질 거라고 이미 예측한 바 있었지만, 붕괴 순간이 더 빨리 오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청와대는 문 대통령 중심으로 폭주하다가 치명상을 입고 비틀거리고 내각은 법무 난맥상 추미애, 대북 난맥상 이인영, 외교 난맥상 강경화, 국방 난맥상 정경두, 경제 난맥상 홍남기, 부동산 난맥상 김현미가 나라 망치는 대활약을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국회는 폭주기관차처럼 김태년 기관사가 문재인 기차를 초고속으로 탈선 운행을 하고 있다"며 "나라를 위한 진정성 없이 일회성 이벤트로만 순간을 모면하려는 이미지 정치는 이제 그만 하고 무너지는 국가체제나 다시 바로잡으라"고 했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 등 수석 비서관들의 집단 사표에 대해 '조기 레임덕의 느낌'이라고 분석했다.
미래통합당 송파병 당협위원장인 김 교수는 페이스북을 통해 "대통령이 주도한 문책성 교체가 아니다. 비서실장과 수석들이 임명권자에게 집단 사표를 던진 모양새"라며 "지지도 하락과 정권의 몰락을 예감하고 먼저 빠져나오려는 난파선 탈출의 느낌적 느낌이다. 임기를 2년 가까이 남기고 정권의 조기 레임덕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왠지 고요한 절간 같은 청와대, 사람들이 다 떠난 텅 빈 집처럼 느껴지는 건 저만의 기우이자 우려겠지"라고 덧붙였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문 대통령에게 세 번 뜨악했던 적이 있다"며 정부여당에 연일 쓴소리를 퍼붓는 이유를 소개했다.
그는 "첫 번째는 대선후보 토론에서 극렬 지지자들의 행패를 '민주주의를 다채롭게 해주는 양념'이라고 정당화했을 때 이분이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이어 "두 번째는 세월호 방명록에 아이들에게 '미안하다. 고맙다.'라고 적은 것을 보았을 때다. '미안하다'는 말의 뜻은 알아듣겠는데, 도대체 '고맙다'라는 말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라며 "아직도 나는 그 말의 뜻을 합리적으로 해석할 방법을 못 찾고 있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진 전 교수는 "결정적인 것은 세 번째였다. 올 초 대통령 신년기자회견에서 '조국 전 장관에게 마음의 빚이 있다'고 했을 때 그 말을 듣는 순간 모든 게 분명했다"며 "이게 그냥 주변의 문제가 아니라 대통령 자신의 문제였던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