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정농단 의혹'에 이어 '삼성 합병·승계 의혹'으로 1일 다시 기소되면서 서초동 법원을 오가는 생활도 수년간 더 이어질 전망이다.
이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 피고인 신분으로 지난 2017년 2월 구속기소된 후 만 3년 6개월째 재판을 받고 있다. 그는 그 해 8월 징역 5년을 선고받고 2018년 2월 항소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으로 감형받고 353일간 수감 생활 끝에 석방됐다.
대법원의 상고심 결론은 지난해 8월 나왔다. 2심에서 인정하지 않은 50억원의 뇌물·횡령액을 추가로 인정해야 한다는 취지였다. 대법원에서 불리한 결론을 받은 이 부회장 측은 파기환송심에서 집행유예를 받아내기 위해 노력해왔다. 준법감시위원회를 만들고 그 권고에 따라 지난 5월 대국민 사과에 나선 바 있다.
아직 파기환송심의 결론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재판부의 편향성을 문제 삼으며 기피 신청을 했기 때문이다. 대법원의 최종 결론이 나오지 않아 파기환송심은 기약 없이 멈춘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이 부회장은 또 새로운 법정 공방을 시작하게 됐다. 새로 기소된 사건 역시 혐의가 복잡한 데다 검찰과 이 부회장 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는 탓에 장기간 법정 공방이 불가피해 보인다.
검찰은 삼성그룹이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와 지배력 확보를 위해 시세조종이나 부정거래, 분식회계 등 불법을 자행했다고 보고 있다. 반면 삼성 측은 검찰이 주장하는 불법행위는 전혀 없었으며, 더욱이 이 부회장이 보고받은 적도 없다는 입장이다.
검찰은 향후 이 사건의 공소 유지를 염두에 두고 수사에 참여한 김영철 부장검사가 팀장을 맡는 특별공판2팀을 서울중앙지검에 신설했다. 이 부회장 역시 대규모 변호인단을 꾸려 방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전문]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