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미래 신산업 육성과 지역 경제 혁신에 초점을 둔 내년도 국비 사업을 정부 예산안에 반영했다. 물 산업과 의료기술, 미래형 자동차, 소재 기술 분야 등과 함께 철도와 도로 등 광역교통망 조성을 위한 예산 확보에 중점을 뒀다.
대구시는 1일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한 국비 사업 규모가 3조1천30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국비 2조8천969억원보다 2천333억원(8.1%) 증가한 것이다. 내년도 예산 중 신규사업은 1천78억원(42건)으로, 올해 1천56억원(57건)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번 국비 반영에선 신성장산업 육성 분야가 눈에 띈다. 우선 ▷물산업 유체성능 시험센터 건립(77억원) ▷물산업 분산형 테스트베드 구축(10억원) ▷영상진단의료기기 탑재용 AI기반 영상분석 솔루션 개발(51억원) 등 물 산업과 첨단의료산업 경쟁력을 확보할 사업이 포함됐다.
아울러 ▷5G기반 자율주행 융합기술 실증플랫폼 구축(86억원) ▷미래형자동차 구동전장부품 실증 기반조성(25억원) ▷대구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자유 특구(68억원) ▷5G기반 첨단 제조로봇 실증 기반구축(99억원) 등 미래형 자동차 산업과 로봇산업을 육성할 동력도 마련했다.
지역 주력산업의 소재부품 경쟁력을 강화할 예산도 편성됐다. 대표적으로 ▷소재부품기술기반혁신사업 테스트베드 구축(169억원) ▷물 없는 컬러산업육성(81억원) ▷소재산업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실증사업(24억원) 등이다.
광역교통망 조성 분야에서도 예산을 마련했다. 산업단지 접근성을 높일 대구산업선 철도 건설(144억원)과 대구경북 경제공동체 조성을 위한 다사~왜관 광역도로 건설(54억원) 등이 반영됐다. 도로 혼잡을 해소할 상화로 입체화 사업(112억원)과 금호워터폴리스 산단 진입도로 건설(106억원) 등도 있다.

애초 목표와 달리 내년 정부 예산안에 반영시키지 못한 대구 국비 사업 규모는 1천913억원이다. 물융합실증 기술개발 사업은 100억원을 편성하려 했지만 심사 과정에서 제외됐다. 대경권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23억원)은 공모에서 탈락했다. 감염병 거점·전담병원 자체의료인력 수당 지급(206억원)과 대구신용보증재단 기본재산 출연금(800억원) 예산도 전액 미반영됐다.
대구시 관계자는 "예산안에서 제외된 국비 사업을 다시 살리기 위해 국회와 협력하고, 또 공모 탈락 사업의 경우 정부 지정 등 다른 형태의 사업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특히 의료인력 수당과 소상공인을 위한 보증재단 출연금은 꼭 필요한 예산이기 때문에 국비에 포함되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