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로 자원봉사자 모집이 어려워지면서 민간 봉사단체마다 일손 부족에 허덕이고 있다. 2월 이후 5개월 넘게 자원봉사자를 모으지 못한 데다 최근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엄격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 때문에 손을 보태고 싶어도 참여 자체가 어려운 형편이기 때문이다. 지역 기관단체들이 비대면 전환 등 안간힘을 쏟고는 있지만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취약계층이 받게 될 충격은 점점 커질 수밖에 없어 대책 마련이 급하다.
자원봉사자 모집의 어려움은 수치상으로도 확인된다.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비영리 민간단체와 종교시설, 사회복지관 등을 통해 봉사에 참여한 인원은 모두 19만512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35만3천415명과 비교하면 무려 절반이나 줄었다. 계속된 지역감염 등 코로나 확산이 누구에게나 두려운 일이지만 든든한 지팡이 역할을 해온 자원봉사자의 태부족은 취약계층에게는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이 같은 어려움을 어떻게든 헤쳐 나가려는 노력도 있다. 무료급식소를 중심으로 대면 봉사를 가급적 제한하고 도시락 배달 등 대체 급식과 비대면 봉사로의 체제 전환이 그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시스템을 빠르게 바꾸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재정 등 운영 여건이 어려운 기관·단체들은 대체 급식을 하고 싶어도 엄두를 내지 못하는 처지다. 시내 경로 무료급식소 48곳 중 현재 도시락을 배달하는 곳은 28곳이다. 나머지 20곳은 6개월 넘게 무료급식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빠른 상황 반전이 없다면 저소득 노인 세대 등 사회취약계층은 물론 봉사기관·단체의 고충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대구시자원봉사센터가 마련한 정책대로 많은 인원이 모이는 봉사활동 대신 물품 후원 등 비대면 봉사활동도 좋은 대안이다. 그러려면 도시락 등 물품 외주에 필요한 후원금 모금 등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뒤따라야 한다. 대구시도 복지재정 투입 등 대책을 세워야 한다. 모든 대책을 봉사기관에만 맡겨놓기보다 민관이 손을 맞잡으면 큰 어려움도 수월하게 이겨낼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